월성원전 '사용후 핵연료' 2년 뒤 저장용량 초과…현재 94.7% 포화

월성원자력본부 전경
월성원자력본부 전경

경주 월성원전 사용후 핵연료 포화율이 2년 뒤인 2022년 저장용량을 넘어선다. 포화율이 현재 약 95%에 달하고 있지만 여전히 추후 대책이 없어 심각한 상황이다.

최형두 미래통합당 의원(창원시 마산합포구)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입수한 '원전별 사용후핵연료 저장 및 포화전망'을 보면, 경주 월성원전의 경우 2022년 3월이면 원전 사용후 핵연료의 저장용량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월성원전은 포화율이 94.7%에 달해 당장 대책 수립이 시급하다.

2016년 7월 25일 산업부가 작성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기본계획'에는 사용후 핵연료 같은 방사성폐기물의 관리대책은 부지확보에만 약 12년이 걸린다. 부지가 확보돼도 중간저장시설의 건설(약 7년 소요)과 인허가용 지하연구시설(URL)건설(약 14년 소요), 영구처분시설의 건설(약 10년 소요) 등 총 약 30여년의 준비기간이 필요하다.

당시 정부는 사용후 핵연료 관리의 시급성을 인식하고 약 2년간의 공론화 작업을 거쳐 2016년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기본계획'을 발표한바 있다.

최 의원은 “그러나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과거 기본계획을 전면 재검토한다고 하고 지금까지 사용후핵연료의 관리대책을 수립하지 않고 있다”며 “당장 2030년대가 되면 월성 원전 뿐만아니라 고리, 한빛, 한울원전이 포화상태가 된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용후 핵연료는 45만7000여 다발이 쌓여 있지만 정부는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대책 수립은커녕 주민의견 수렴도 재대로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의원은 사용후 핵연료 처리를 위한 총비용 산정도 제대로 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사용후 핵연료 총사업비를 약53조 2810억원(중간저장 : 21조 1946억원, 처분 : 32조 864억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2013년 기준으로 현재와는 큰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업부 담당자는 “사용후 핵연료 관리정책이 아직 수립되지 않아 기존비용을 유지 중”이라며 “재검토를 통해 관리정책이 수립될 시 이와 연계해 비용을 재산정 할 것”이라고 답했다.

최 의원은 “원전은 이미 포화상태인데 수십년의 시간이 필요한 사용후 핵연료처리를 위한 부지 선정도 못하고 있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며 “탈원전 이후 사용후 핵연료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관리방안을 내놓아야 지역주민들이 불안해 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혜영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