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마일리지 플랫폼, 정부가 나서야

[사설]마일리지 플랫폼, 정부가 나서야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흩어져 있는 마일리지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제안했다. 플랫폼 제안 배경은 본인도 모르게 소멸되는 마일리지 때문이다. 이 의원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5~2019년 항공사, 이동통신사, 정유사, 카드사, 공공기관 등에서 적립한 마일리지는 총 20조5713억원이었다. 이 가운데 쓰지 않고 자동 소멸한 마일리지는 1조4938억원으로 파악됐다. 업종별 마일리지 소멸 추정액은 이통사 1155억원, 카드사 5552억원, 항공사 7609억원, 정유사 300억원, KTX 7억5000만원, 공공기관 복지 포인트 322억원 등이었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속담 그대로다. 개인으로 보면 마일리지는 정말 소액이지만 전체로 보면 상상을 초월한다. 이 의원 분석대로라면 한 해에 적립되는 마일리지는 5조원, 소멸되는 마일리지는 약 2100억원이다. 적지않은 액수다. 마일리지에 관심이 덜한 배경은 두 가지다. 소액이어서 사용처가 마땅치 않다는 점, 정확한 적립 액수를 알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이 의원이 제안한 통합플랫폼은 시의적절하다. 아이디어도 나쁘지 않다. 마일리지가 어디에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 검색해서 모아 주고 맘대로 쓰는 통합플랫폼이 있다면 금상첨화다. 세금이나 기부금을 내고 온누리 상품권을 구입하는 등 사회에 기여하는 방안도 검토할 가치가 있다.

문제는 실현 가능성이다. 마일리지는 소비자 입장에서 당연한 권리다. 기업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돌려줘야 할 빚이다. 그럼에도 여태껏 해결책을 찾지 못했다면 그만큼 실현 과정이 쉽지 않다는 뜻이다. 당장 이 의원이 제안한 통합플랫폼도 자발적인 기업 협조가 없으면 쉽지 않다. 기업들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주도할 주체도 필요하다. 정부가 직접 전담하는 방법이 어떨까 한다. 정부라면 기업들의 의견을 모으기가 한결 손쉬울 것이다. 마일리지를 사회 복지와 같은 공익 차원에서 활용하기도 좋다. 국정감사용 재료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슈를 제기한 이상 국감이 끝나더라도 해결책을 찾을 때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