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충남대병원, 김주학 성형외과 교수 '팽창식 고정구조 배액관' 공동개발

세종충남대병원 성형외과 김주학 교수
세종충남대병원 성형외과 김주학 교수
충남대병원 성형외과 오상하 교수
충남대병원 성형외과 오상하 교수

세종충남대학교병원(원장 나용길)은 성형외과 김주학 교수와 충남대병원 성형외과 오상하 교수, KAIST 신영하 연구원이 비침습으로 추가 상처를 내지 않고 공기압을 이용한 '팽창식 고정구조 배액관'을 공동개발 해 특허 출원했다고 8일 밝혔다.

배액관은 수술 후 체내 수술 부위 또는 체내 조직에 혈액이나 장액, 농양 등 체액이 고이면 염증 등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를 강제로 배출하기 위해 삽입한다.

말단의 일부는 신체 내 삽입, 일부는 외부에 노출돼 체내 발생하는 체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배액관이 체외로 뽑히거나 체내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피부에 고정하는 과정이 필요한 데 기존에는 봉합사를 이용해 피부에 묶어두거나 피부용 스테이플러로 고정하는 방법, 점착성부로 피부에 부착하는 방법 등을 이용했다.

하지만 봉합사로 피부에 고정하는 방법은 시술이 번거롭고 숙련도에 따라 고정강도 등 차이가 발생, 배액관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움직임이나 장치 자체 흔들림으로 피부 고정부위가 자극돼 짓무름, 염증, 피부 당김, 추가 상처, 흉터 등 부작용이 발생했다.

또 피부 스테이플러는 사용이 편리하지만 배액관 결합을 위한 별도 고정 장치가 필요하고 피부에 추가 상처와 흉터가 남는다.

점착성부재는 추가 상처가 남지 않지만 부착력이 떨어질 경우 고정 장치로서 기능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김 교수가 공동개발 한 배액관은 삽입을 위한 최소한의 천공으로 시술하고 별도 고정을 위한 추가 상처가 없는 방식이다.

공기를 주입해 배액관을 체내에 밀착 고정시켜 팽창이 유지되는 동안에 배액관이 밀려들어가거나 빠져나오는 것을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다.

기존 개발된 유사 장치는 공기 주입량에 따라 부풀어지는 정도만 조절 가능했다.

특히 '팽창식 고정구조 배액관'은 배액관이 피부와 접하는 부위에 고정용 베이스와 클립 장치를 통해 체내와 체외에서 서로 반대로 빠져나오거나 들어가는 것을 차단하는 양방향 구조로 설계됐다.

체내와 체외에 한 개씩 새로 고안된 장치가 배액관과 흉관이 거치되는 피하조직을 감싸 움직이지 않게 하는 방식이다.

또 얇은 피하조직을 가진 환자부터 두꺼운 피하조직 환자까지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팽창 시작점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고안됐다.

김 교수는 “팽창식 고정구조 배액관은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피부 고정 봉합을 시행하지 않아 추가 흉터가 발생하지 않고 피하조직의 두께에 상관없이 공기 주입량을 조절해 배액관이 체외로 빠지지 않게 고정 가능한 것이 특징”이라며 “향후 심근경색 치료 등 현재 일괄적인 확장이 아닌 원하는 부위부터 확장시키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대전=양승민기자 sm104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