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가 출범 직후부터 빠른 현안 대응 및 정책 추진으로 여러 긍정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지난 정부에서 논란이 됐던 연구개발(R&D) 예산에 대해 최근 개선 방안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에도 관심이 뜨겁다. 이 대통령은 앞서 후보 시절 새 정부 R&D 예산 확대를
ET톡
-
기초 없이 미래 없다2025-06-25 10:21
-
항우연·친문연 이전, 정치 논리는 그만
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천문연구원 이전 논란이 뜨겁다. 최근 서천호 국민의힘 의원은 대전에 위치한 항우연과 천문연을 사천 우주항공청 인근으로 이전하는 내용의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우주항공청이 있는 경남 사천을 중심으로 우주항공 분
2025-06-24 12:30 -
증시에서 사라지는 우량 'K미용 의료'
피부미용 의료기기 업계에서 또 하나의 우량 상장사가 주식 시장을 떠난다. 비올이 사모펀드 VIG파트너스에 인수돼 지난 18일부터 자진상장폐지 목적 공개매수에 들어갔다. 지난 몇 년간 루트로닉, 제이시스메디칼, 오스템임플란트 등도 같은 방식으로 주식 시장에서 사라졌다.
2025-06-23 14:36 -
K바이오, 마냥 웃을 수 없는 이유
세계 최대 바이오 박람회 '2025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바이오 USA)'. 글로벌 진출을 꿈꾸는 국내 기업만큼이나 바이오 산업을 활성화하려는 지방자치단체 노력도 눈에 들어왔다. 서울 노원구, 강원 춘천시, 대전광역시 등의 수장이 미국 보스턴을 찾아 기업 유치, 글
2025-06-22 12:52 -
다시 불거진 대형마트 규제
“일요일에 두 번 쉰다고 큰 피해를 입는다는 것은 대형마트의 마케팅이다.”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발의한 여권 인사 설명에 말문이 막혔다. 의무휴업일 공휴일 고정으로 대형마트가 적자를 본다면 그건 업체의 역량 부족이라는 주장이다. 그는 규제가 없을 때 영세 자영업자가
2025-06-19 12:02 -
숙의 필요한 '플랫폼 입법'
“더불어민주당 대선 공약집에 있는 온라인 플랫폼 규제를 보고 상당히 허탈했습니다.” 플랫폼 업계 한 관계자의 말이다. 그는 지난 몇 년간 업계에서 반대해 온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등 다수 플랫폼 규제가 이재명 대선 후보의 정책 공약집에 담긴 것을 보고 상당히 실망했다
2025-06-18 10:57 -
반년만의 외교·통상 정상화에 거는 기대
우리 경제·사회는 반년간 짙은 안갯속에 고립됐다. 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을 거치는 동안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에 대한민국 통상은 리더 부재로 정교하게 설계된 전략을 수립하기도, 전개하기도 어려웠다. 혼란의 시기를 지나 반년 만에 통상·외교와 국내 정치가 다시 정상
2025-06-17 16:00 -
실패 공유 프레젠테이션
인공지능(AI) 시대 도래와 함께 엔비디아가 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로 부상했다. AMD, 인텔, 화웨이 등 경쟁 기업들이 AI 가속기를 잇달아 출시했지만, 엔비디아는 굳건하게 지위를 지키고 있다.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만들던 기업이 이렇게 비약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
2025-06-16 10:56 -
까다로워진 보험사 건전성 관리…'계약이전' 활성화해야
나날이 보험사에게 요구되는 자본관리 요건이 엄격해지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보험사 '자본의 질' 관리를 위해 기본자본 지급여력(K-ICS·킥스)비율을 새 자본규제 지표로 도입할 예정이다. 보험사 가용자본은 손실흡수성에 따라 기본자본(Tier1)과 보완자본(T
2025-06-15 13:51 -
유심 집계에 가려진 행정편의주의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고 이후 한 달 넘도록 이어진 일일 브리핑이 어느새 유심 교체 현황 보고로 바뀌었다. 회사는 매일 카운팅 결과를 내놓고 원활한 교체가 이뤄지고 있다고 강조한다. 정작 고객이 궁금한 건 숫자가 아니다. 유출된 정보가 악용될 소지는 없는지, 내 차례
2025-06-12 15:00 -
글로벌 인공지능 3대 강국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면서 인공지능(AI)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이 대통령의 AI 공약이 제대로 이행되면 미국과 중국에 이어 '글로벌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이 충분히 가능할 것이라는 게 업계 인식이다. 이 대통령은 대선 기간 규제 합리화를 필두로 그래
2025-06-11 13:39 -
게임특위가 남긴 것
지난 대선 기간 더불어민주당 게임특별위원회는 정치권의 게임 산업 인식을 환기시키는 데 적잖은 역할을 했다. 게임 질병코드, 확률형 아이템 규제, 블록체인 게임 등 민감하면서도 중요한 현안을 공론화하며 정당 차원의 정책 논의 구조 안에 게임 산업을 위치시킨 사례는 이례적
2025-06-10 10:45 -
국회의 시간
12·3 비상계엄에 이어 대통령 탄핵까지 전례 없는 국면이 이어졌지만 21대 대선으로 그 장기전은 마침내 마무리됐다. 이번 선거는 정치적 불안과 헌정 질서 혼란을 넘어 위기에 빠진 한국 경제를 돌파할 전환점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이제는 국회의 시간이
2025-06-09 14:35 -
선언 말고 설계가 필요하다
가상자산 시장의 경쟁력은 선언이 아니라 설계에서 나온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의 가상자산 관련 핵심 공약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추진'과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이다. 단순한 규제 완화가 아니다. 이는 가상자산을 제도권 금융으로 편입하고,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2025-06-08 16:00 -
이재명 정부, '코스피 5000' 공수표가 안되려면
한국 경제는 이미 저성장에 접어들었다. 이재명 정부가 가장 먼저 집중할 과제는경제 회복이다. 민주당 정권은 '부동산 정책 실패'라는 공식도 깨야 한다. 이를 위해 부의 재배치를 통해 자산시장 개혁이 필요하다. 이재명 대통령의 '코스피 5000' 공약은 한국 자본시장이
2025-06-04 1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