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초부터 이재명 정부의 인공지능(AI) 정책 및 공약을 준비하며 함께 논의해 온 전문가로서, 이번 인선이 최적이라 확신한다.” (이원태 전 한국인터넷진흥원장) “우리나라에서 AI 정책 총괄을 맡기에 가장 적절한 분이라 생각한다.” (Sung Kim 업스테이지 대표,
황보현우의 AI시대
-
〈34〉하정우 AI 수석 임명에 대한 단상(斷想)2025-06-19 16:00
-
〈33〉이재명 정부에 바라는 AI 정책
6월 4일 제21대 대통령의 임기가 시작되었다. 비상계엄 사태로 촉발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은 주권자인 국민이 이재명 대통령을 선택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새 대통령은 산업 현장의 중심축인 40~50대 연령층에서 절대적 지지를 받으며, 진보 진영 출신 대통령 중 가장 높은
2025-06-04 16:16 -
〈32〉AI에 피지컬(Physical)이 중요한 이유
2002년 '월드컵 4강 진출'은 축구를 좋아하는 이들만이 아니라 모든 한국인을 설레게 만들었고, 세계인들의 기억에 '대~한민국'이라는 응원 구호를 새긴 대한민국 현대사의 중요한 사건이다. 이 역사적 사건의 중심에 서 있는 이가 한국인이라면 모두가 좋아하는 거스 히딩크
2025-05-22 16:00 -
〈31〉SKT 해킹 사태와 AI 보안
오는 6월 3일 치러질 조기 대선을 제외하면, 현재 대한민국의 최대 이슈는 단연코 SK텔레콤 해킹 사태다. 지난 4월 22일 SKT는 가입자관리서버(HSS:Home Subscriber Server) 해킹으로 인해 고객의 유심(USIM:Universal Subscribe
2025-05-08 16:00 -
〈30〉로보어드바이저와 금융 AI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나만의 비서처럼 움직이는 '에이전틱(Agentic) AI'가 현실이 되고 있다. 금융 영역에서도 AI의 활약은 예외가 아니다. AI가 고액 자산가의 금융 집사 역할을 담당했던 프라이빗 뱅커(Private Banker:PB)를 대신하기
2025-04-24 16:00 -
〈29〉MCP와 AI 기술표준
앤쓰로픽의 MCP(Model Context Protocol)가 업계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있다. MCP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포함한 다양한 인공지능(AI) 모델이 외부 데이터나 업무 도구와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돕는 표준화된 개방형 기술 규약이다. MCP는
2025-04-10 16:00 -
〈28〉딥리서치와 연구 AI
오픈AI는 지난 2월 2일 전문 분야 연구와 시장조사를 지원하는 챗GPT 딥리서치(Deep Research)를 출시했다. 인공지능(AI)을 통해 심층 조사와 체계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학술논문과 보고서 작성이 가능해진 것이다. 경쟁사인 구글도 딥리서치 기능을 추가한 제
2025-03-27 16:00 -
〈27〉똑똑한 비서와 에이전틱 AI
챗GPT의 개발사인 오픈AI는 지난 2월 5~30분 동안 자동으로 웹사이트를 탐색해 보고서를 작성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인 딥리서치(Deep Research)를 발표했다. 이어 기존 생성형 AI 모델인 GPT-4와 추론 AI(o3-mini, o3-mini-high,
2025-03-13 16:00 -
〈26〉인더스트리 4.0과 피지컬 AI
불과 몇년 전만 해도 제조업을 휩쓴 화두는 '인더스트리 4.0'이었다.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핵심 과제로 통용되는 인더스트리 4.0은 높은 인건비와 고령화로 제조업의 경쟁력이 약화된 독일에서 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기 위한 자구책으로 등장했다. 인더스트리 4.0은 디지털화
2025-02-27 16:00 -
〈25〉고독한 사람들과 감성 AI
오늘날은 추론 인공지능(AI)의 전성기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2022년 챗GPT 출시 이후 하루가 멀다하고, 성능이 개선된 추론 AI 모델을 내놓고 있다. 오픈AI는 챗GPT 이후 GPT-4, GPT-4o, o1, o3에 이르기까지 업그레이드된 추론 AI 모델을
2025-02-13 16:00 -
〈24〉리걸테크와 법률 AI
생성형 인공지능(AI)은 어떤 영역이든 못하는 게 없는 팔방미인과 같은 존재다. 2022년 챗GPT 발표 이후 AI는 2023년 GPT-4, 2024년 퍼플렉시티(Perplexity)와 며칠 전 발표된 딥시크(DeepSeek)-R1에 이르기까지 개발사와 모델은 다르지만
2025-01-30 16:00 -
〈23〉초고령 사회와 헬스케어 AI
지난 주 정보기술(IT) 업계의 관심은 미국 라스베이거스로 쏠렸다. 166개국, 4800여개 기업이 참여하는 세계 최대 정보기술·가전 전시회인 'CES 2025'가 열렸기 때문이다. 비록 과거에 비해 명성은 못하지만, 최신 기술 트렌드를 파악하기엔 최적의 기회다. 올해
2025-01-16 16:00 -
〈22〉미래 전쟁과 국방 AI
2025년 새해에도 세계 곳곳에서는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 이후 3년 가까이 전쟁이 지속되고 있다. 전쟁은 교착 상태에 접어들었지만, 서방 국가의 지원과 북한의 참전 속에서 양측의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중동
2025-01-02 16:00 -
〈21〉비상계엄, 탄핵 그리고 AI 산업
2024년 12월 최대 이슈는 '비상계엄'과 '탄핵'이었다. 대다수 국민이 예상치 못했던 사건인 만큼 충격은 컸다. 박정희 대통령이 시해된 1979년 10.26 사건 전후 선포된 비상계엄 후 무려 45년만의 계엄이었기에, 그리고 군부 독재 후 성공적으로 민주화를 이뤄낸
2024-12-19 16:00 -
〈20〉AI와 데이터는 하나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한다
2022년 12월 챗GPT 출시 이후 인공지능(AI)은 우리 일상 속으로 들어왔다. 기업들은 AI 도입이 늦어지면 치열한 경쟁에서 도태될까 두려워 서둘러 AI 조직을 신설하고,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그러나 많은 기업에서 AI를 피상적으로 접근한 나머지, 직전의 트렌
2024-12-05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