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박진형 기자

국내외 반도체, 모빌리티, 전장부품 소식을 전합니다.

기자에게 메일 보내기
  • 기사 썸네일
    웨이브로드, GaN 웨이퍼 국산화 속도…5개사 퀄 테스트

    웨이브로드가 차세대 전력반도체 소재인 질화갈륨(GaN) 에피택시 웨이퍼 국산화에 다가서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브로드는 국내외 5개 고객사와 신호증폭(RF)용 GaN 에피택시 웨이퍼 품질 평가를 진행 중이다. 이중 국내 방산 대기업도 웨이브로드 6인치 에피

    2025-06-16 17:00
  • 기사 썸네일
    [ET톡] 실패 공유 프레젠테이션

    인공지능(AI) 시대 도래와 함께 엔비디아가 세계 최대 반도체 회사로 부상했다. AMD, 인텔, 화웨이 등 경쟁 기업들이 AI 가속기를 잇달아 출시했지만, 엔비디아는 굳건하게 지위를 지키고 있다. 그래픽처리장치(GPU)를 만들던 기업이 이렇게 비약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

    2025-06-16 10:56
  • 기사 썸네일
    中, 시높시스-앤시스 기업결합 승인 연기

    중국 반독점 규제당국이 미국의 시높시스의 앤시스 인수 관련 기업결합심사 일정을 연장했다. 시높시스는 올해 상반기 내 기업결합에 필요한 세계 각국 규제당국 승인을 완료한다는 입장이나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5일 파인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

    2025-06-15 12:34
  • 기사 썸네일
    마이크론, 美 41조 추가 투자…“자국 내 D램 40%·HBM 생산”

    마이크론이 미국 투자 규모를 확대했다. 자국 내 D램 생산 비중을 최대 40%까지 끌어올리고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거점도 만들겠다고 밝혔다. 마이크론은 12일(현지시간) 미국 내 반도체 제조와 연구개발(R&D)에 총 2000억 달러(약 274조원)를 투자한다고 발

    2025-06-13 13:22
  • 기사 썸네일
    AMD, AI 가속기 'MI350' 출시…“엔비디아比 가성비 40%↑”

    AMD가 인공지능(AI) 가속기 신제품 'MI350X' 시리즈를 출시했다. 시장 1위 업체인 엔비디아를 겨냥해 자사 제품의 가격 대비 성능(가성비)가 월등히 더 뛰어나다며 공격적인 마케팅에 나섰다. AMD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 본사에서 열린

    2025-06-13 03:30
  • 기사 썸네일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 “HBM, LPDDR·플래시·캐시 통합 제어”

    고대역폭메모리(HBM)가 LPDDR D램, 플래시(낸드), 캐시 등 인공지능(AI) 반도체에 탑재되는 다른 메모리를 통합 제어하는 형태로 진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HBM4에서 LPDDR을 시작으로 HBM7에서는 3D 낸드를 수직으로 쌓은 고대역폭플래시(HBF)와

    2025-06-11 14:12
  • 기사 썸네일
    해성디에스, 美 TI 최우수 공급업체 선정

    해성디에스는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로부터 '최우수 공급업체 상(Supplier Excellence Award)'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TI는 전 세계 1만여개 이상의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해 매년 소수 업체를 선정하며, 올해는 19개 업체에 시상했다.

    2025-06-11 09:55
  • 기사 썸네일
    딥엑스, 美 윈드리버와 온디바이스AI 솔루션 개발

    딥엑스는 미국 윈드리버와 협력해 차세대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을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고 11일 밝혔다. 윈드리버는 임베디드 운영체계(RTOS)와 엣지 인프라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체다. 항공우주, 자동차, 통신, 산업 자동화 등 고신뢰 산업

    2025-06-11 09:54
  • 기사 썸네일
    오픈GMSL 협회 출범…車 고속 데이터 전송 표준 추진

    아날로그디바이스(ADI)가 차량 내 고속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하는 자사의 직렬 통신 기술 'GMSL'을 개방한다. 개방형 글로벌 표준으로 만들어 기술 주도권을 가져가기 위해서다. 발라고팔 마얌푸라스 ADI 부사장은 10일 온라인 간담회를 통해 “오픈GMSL협회(OGA

    2025-06-10 14:44
  • 기사 썸네일
    삼성전자, 차세대 D램에 '건식 PR' 첫 적용

    삼성전자가 6세대(1c) D램에 '건식 포토레지스트(PR)'를 적용한다. D램에 건식 PR를 도입하는 건 반도체 업계 처음이다. 수율 향상을 위한 시도로, 삼성전자가 차세대 D램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지 주목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1c D램에 건식 PR를

    2025-06-10 14:28
  • 기사 썸네일
    한애라 SK하이닉스 이사회 의장 “기술 중심 의사 결정할 것”

    한애라 SK하이닉스 이사회 의장은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기술 중심의 의사결정'을 강조했다. 한 의장은 10일 사내 인터뷰를 통해 “SK하이닉스가 최대 실적을 달성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고대역폭메모리(HBM)”라며 “다른

    2025-06-10 13:39
  • 기사 썸네일
    주성엔지니어링, 용인 제2연구소 설립에 1048억 투자

    주성엔지니어링은 용인 제2연구소 설립을 위해 1048억원을 투자한다고 9일 밝혔다. 제2연구소 부지는 기존 용인 R&D센터 바로 옆(용인시 기흥구 신갈동 384-65번지)에 위치하며 6200평 규모, 지하 3층·지상 4층 규모로 지어질 예정이다. 예상 준공일은 2028

    2025-06-09 16:42
  • 기사 썸네일
    [새 대통령에 바란다…새정부, 새 도약을](3)국가대항전된 '반·디·배' 파격 지원 절실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로 대표되는 첨단 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기반이다. 수출품목 1위인 반도체부터 세계 최고 기술력을 갖춘 디스플레이,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히는 배터리 산업 모두 성장해왔지만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바로 이들 첨단 산업을 쥐려는 글로벌 패권 경쟁이

    2025-06-09 16:30
  • 기사 썸네일
    APS, 친환경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신소재 사업 진출

    APS가 친환경 초경량·고강도 합금 소재 '에코-알막(ECO-Almag)' 사업에 진출한다. 그룹 내 계열사 필요 부품에 우선 적용하고 자동차·조선·정보기술(IT) 등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 추가 수요처를 발굴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APS는 계열사 제니스월드와 알루미늄

    2025-06-09 10:53
  • 기사 썸네일
    해성디에스, 미국지사 3년 만에 폐쇄

    해성디에스가 조직 운영효율화 차원에서 미국지사를 3년 만에 폐쇄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해성디에스는 최근 이사회를 열고 미국지사 폐쇄를 확정하고 업무를 본사로 이관했다. 해성디에스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과 리드프레임을 제조·판매하는 기업이다. 미국지사는 2022년 미국

    2025-06-08 1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