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충남, 美 관세정책 대응 시나리오 구상…금융지원 등 4개 긴급 대책 추진 점검

    충남도가 미국 관세정책 변동 상황에 신속 대응하기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지난 4월 마련한 4개 분야 긴급 대책 추진 상황을 꼼꼼히 들여다봤다. 이를 바탕으로 후속 조치 등에 최선을 다해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큰 미국 관세정책에 적극 대응하는 전략을 짜기 위해서다. 도는

    2025-07-11 14:52
  • 기사 썸네일
    반도체 패키징 포럼 3대 의장에 주영창 KMEPS 회장 취임

    주영창 한국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 학회장이 제 3대 '반도체 패키징 발전전략 포럼' 의장으로 선출됐다. 반도체 패키징 발전전략 포럼은 11일 서울 SC컨벤션센터에서 간담회를 열고, 차기 의장으로 주 학회장을 선임했다. 포럼은 지난 2023년 대한전자공학회, 차세대지능형

    2025-07-11 14:00
  • 기사 썸네일
    젠슨 황 엔비디아 CEO, 中 방문 앞두고 트럼프와 회동...수출제한 완화 요구?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중국 방문을 앞두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동을 가졌다고 블룸버그가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구체적 회담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미국의 중국 반도체 제재 관련 내용이 다뤄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황 CEO는 그동안 미국

    2025-07-11 10:36
  • 기사 썸네일
    저스템, AI 기반 반도체 습도 제어 기술 개발

    저스템은 반도체 습도 제어 장비인 'JFS'에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AI 파워-JFS(AIP-JFS)'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회사는 AIP JFS가 첨단 AI 기반 정밀제어시스템을 활용해 반도체 생산 라인의 습도 제어 기능을 최적화하고, 기류 흐름을

    2025-07-11 10:29
  • 기사 썸네일
    SK온, 엘앤에프와 LFP 양극재 협력…美 ESS 겨냥

    SK온이 북미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겨냥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소재 공급망 구축에 나섰다. SK온은 엘앤에프와 북미 지역 LFP 배터리용 양극재 공급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1일밝혔다. 양사는 공급 물량과 시기 등 협

    2025-07-11 10:29
  • 기사 썸네일
    포스코퓨처엠, 日 배터리 제조사에 음극재 공급

    포스코퓨처엠은 일본 배터리 제조사와 음극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회사는 세종 공장에서 천연 흑연 음극재를 생산, 고객사에 납품한다고 설명했다. 일본에서 제조되는 전기차 배터리에 탑재된다. 포스코퓨처엠은 고객사와 계약 규모·기간 등은 공개하지 않았다.

    2025-07-11 10:27
  • 기사 썸네일
    민테크, 교통안전공단과 전기차 배터리 신속진단시스템 실증

    민테크는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TS)과 전기차 정기검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기차 배터리 신속진단시스템' 실증을 시작했다고 11일 밝혔다. 민테크의 전기차 배터리 신속진단시스템은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을 기반으로 이차전지 안전성을 10분 이내에

    2025-07-11 10:27
  • 기사 썸네일
    서플러스글로벌, '2025년 무역안보의 날' 산업부 장관 표창 수상

    서플러스글로벌(대표 김정웅)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 무역안보의 날' 기념 행사에서 전략물자 수출관리 유공 부문 산업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고 밝혔다. 중견기업으로서 이례적으로, 전략물자 수출통제를 체계적으로 이행하며 민간 부문에서 장기적 리스크 대응 모

    2025-07-11 09:40
  • 기사 썸네일
    엘앤에프, LFP 사업 자회사 '엘앤에프엘에프피' 설립

    엘앤에프가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사업을 위한 자회사를 설립하고 중저가 전기차와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공략한다. 엘앤에프는 10일 이사회를 열고 LFP 양극재 생산과 판매를 담당하는 신규법인 설립 및 신설법인에 대한 지분 취득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엘앤에프

    2025-07-10 18:12
  • 기사 썸네일
    LS전선·일렉트릭, 한전과 데이터센터용 초전도 전력망 구축

    LS전선과 LS일렉트릭이 한국전력과 함께 데이터센터용 '초전도 전력망' 구축에 나선다. 초전도 전력망은 대형 변전소를 약 10분의 1 크기 소형 스테이션으로 대체하고, 초전도 케이블로 전력을 공급하는 차세대 전력 시스템이다.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2025-07-10 16:35
  • 기사 썸네일
    [1만호 100대 사건]〈23〉256MB D램 세계 첫 개발

    1994년 삼성전자는 256메가(MB) D램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우리나라가 반도체 개발에 뛰어든지 11년만이다. 앞서 1992년 삼성전자는 64MB를 가장 먼저 개발했지만, 시장 점유율은 일본 기업이 좀더 우세했다. NEC·도시바·히타치·후지쯔·미쓰비시 등이 주도

    2025-07-10 16:00
  • 기사 썸네일
    액트로 “액추에이터 장비 신사업 성과…내년 매출 30% 이상 성장”

    액트로가 액추에이터 부품에서 생산 장비로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 신성장 동력으로 준비한 장비 사업이 탄력 붙어 포트폴리오를 검사기까지 넓힌다는 계획이다. 하동길 액트로 대표는 최근 전자신문과 인터뷰에서 “액추에이터 자동화 장비에서 상반기에 200억원이 넘는 매출을 기록

    2025-07-10 16:00
  • 기사 썸네일
    차세대 저전력 D램 'LPDDR6' 표준 발표…대역폭 20% 개선

    국제반도체표준화기구(JEDEC)는 차세대 저전력 D램 표준인 'LPDDR6'(JESD209-6)을 제정했다고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LPDDR6는 전 세대보다 성능, 전력 효율성, 보안 기능을 크게 개선했다. LPDDR6 최대 전송속도 14.4Gbps, 최대 대역폭

    2025-07-10 14:47
  • 기사 썸네일
    [뉴스줌인] 엔비디아 기록적 성장 배경은 '생태계'

    엔비디아 시총 4조 달러(약 5493조원) 돌파는 인공지능(AI) 시장의 매서운 성장세를 방증한다. 특히 북미 빅테크 기업의 AI 인프라 투자 확대가 엔비디아의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키운 것으로 풀이된다. 투자은행(IB) UBS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메타·아마

    2025-07-10 14:40
  • 기사 썸네일
    삼성디스플레이, 애플 폴더블 전용 라인 구축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 아이폰에 들어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생산 준비에 착수했다.

    2025-07-10 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