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이동채 에코프로 창업주 “제품군 확장으로 돌파구 찾아야”

    에코프로 창업주인 이동채 전 회장은 경영 위기 극복 방안으로 양극재 포트폴리오 확장을 강조했다. 2일 에코프로에 따르면 이 전 회장은 전날 충북 오창 본사에서 열린 3분기 조회에서 “기업은 생산을 적게 할 때도 있고 영업이 잘 안 될 때도 있지만, 어떤 상황에서도 살아

    2025-07-02 13:20
  • 기사 썸네일
    PI첨단소재,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PI첨단소재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일 밝혔다. 회사의 주요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성과와 전략적 방향, 핵심 리스크에 대한 관리 체계를 종합적으로 담았다. 기업 활동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한 '이중 중대성 평가'를 통해

    2025-07-02 10:18
  • 기사 썸네일
    국제 반도체 고위급 경영진 서밋 I.S.E.S. Korea 2025, 수원에서 8월 개최

    국제 반도체 고위급 경영진 서밋인 I.S.E.S.(International Semiconductor Executive Summit)가 오는 8월 27일~ 28일 양일간 경기도 수원시에서 'I.S.E.S. Korea 2025'를 개최한다. I.S.E.S. Korea 20

    2025-07-02 10:08
  • 기사 썸네일
    바스프, 전자소재 사업부 본사 대만 이전

    바스프가 전자소재 사업부 본사를 독일에서 대만 타이베이로 이전했다고 2일 밝혔다. 회사 측은 반도체 및 전자소재 공급 혁신과 성장을 가속화하고, 전 세계 반도체 산업의 중심지인 대만의 전략적 위치를 활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아시아와 미국에 집중된 주요 고객사

    2025-07-02 10:05
  • 기사 썸네일
    美 울프스피드, 파산보호 신청…“3분기까지 완료”

    울프스피드가 46억 달러(약 6조2200억원) 규모의 부채 감축을 위한 구조조정 계획을 실행하고자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울프스피드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미국 연방파산법 제11장(챕터11)에 따른 구조조정 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

    2025-07-01 18:23
  • 기사 썸네일
    삼성전자, 400단 낸드 상용화 시동…내년 3월 라인 구축

    삼성전자가 내년 상반기 차세대 낸드플래시 양산라인을 구축한다. 셀을 400단 이상 쌓은 'V10' 메모리 생산체계를 갖추는 것으로, 올 하반기 투자가 가시화될 전망이다. 1일 취재를 종합하면 삼성전자는 2026년 3월부터 V10 낸드플래시 생산라인을 구축할 방침인 것으

    2025-07-01 16:30
  • 기사 썸네일
    삼성 파운드리, 1.4㎚ 2029년 양산…'가동률 회복' 집중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가 1.4나노미터(㎚) 반도체 양산 순연을 공식화했다. 기존 대비 2년 늦은 2029년 양산을 목표로 내세웠다. 1.4㎚ 양산을 늦추는 대신 2㎚ 이상 공정 완성도를 높이고 가동률을 끌어올려 수익성을 개선하려는 시도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1일 서

    2025-07-01 16:06
  • 기사 썸네일
    [ET단상] 항법 기술, 뿌리를 알아야 미래가 보인다

    항법 기술은 우주와 지구, 군사와 민간, 현재와 미래를 잇는 핵심 기반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다양한 활용 영역에서 항법 기술의 정밀도와 신뢰성은 곧 성능과 안전의 기준이 되며, 불확실한 환경에서도 방향을 잃지 않는 능력은 기술 선진국 역량을 보여주는 척도가 되고 있

    2025-07-01 16:00
  • 기사 썸네일
    [소부장 인사이트] 외벽 포크시트: 나노시트 기술의 미래

    반도체 기술의 발전은 끊임없이 새로운 기술을 요구하고 있으며, 그 중 게이트올어라운드(GAA) 나노시트 기술은 최근 몇 년 동안 미세화와 성능 향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핀펫(FinFET) 기술을 대체하며 반도체 소자의 크기를 더욱 작게 만들고 성능을 획기적으로

    2025-07-01 16:00
  • 기사 썸네일
    아이폰17 OLED 패널 초도물량...한국기업이 전량 공급

    국내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들이 애플 아이폰17 시리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생산에 본격 돌입했다. 중국 업체의 진입이 아직 이뤄지고 있지 않아 초도 물량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전량 소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

    2025-07-01 14:12
  • 기사 썸네일
    한화로보틱스, 협동로봇 '클래스 1' 인증 획득

    한화로보틱스는 글로벌 인증기관인 티유브이슈드로부터 협동로봇 '클래스 1' 인증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 클래스 1은 클린룸 1㎥당 0.1마이크로미터(㎛) 크기 오염 입자가 10개 이하만 허용되는 청정도 등급이다. 한화로보틱스는 협동로봇 'HCR-14'가 클래스 1 클린

    2025-07-01 13:38
  • 기사 썸네일
    칩스케이, GaN 전력반도체 'HighGaN' 국제상표 등록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 설계 기업 칩스케이가 세계지식재산기구(WIPO)에 GaN 전력반도체 기술에 대한 국제상표를 등록했다고 1일 밝혔다. 등록 명칭은 'HighGaN'이며, 전력반도체, 전력변환 장치 등(제09류)으로 분류된다. 'HighGaN'은 칩스케이의 G

    2025-07-01 12:19
  • 기사 썸네일
    SK키파운드리 이동재 대표, SK파워텍 대표 겸임

    SK키파운드리가 SK파워텍 인수를 완료하면서 대표이사를 교체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SK키파운드리는 지난달 SK㈜로부터 SK파워텍 지분 98.59% 인수를 완료하고, 이동재 SK키파운드리 대표가 SK파워텍 대표로 취임했다. 기존 SK파워텍 대표는 안성재 SK㈜ 테크혁

    2025-07-01 12:18
  • 기사 썸네일
    최주선 삼성SDI 사장 “어려울수록 진짜 실력 드러나…기술 차별화 필요”

    최주선 삼성SDI 사장은 1일 경기도 용인 기흥 본사에서 열린 '창립 55주년 기념식'에서 “차별화된 기술력, 제조 경쟁력 재건, 극판·조립·팩 기술의 정상화, 전자재료 신사업 성공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좋은 성과를 낼 때까지 인내심을 갖고 노력하자”고 강조했다.

    2025-07-01 12:16
  • 기사 썸네일
    딥엑스, 국내 영업 총괄에 TI·온세미 출신 강상균 상무

    딥엑스는 국내 영업 총괄로 시스템 반도체 영업 베테랑인 강상균 상무를 영입했다고 1일 밝혔다. 강 상무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 온세미, TE 커넥티비티 등 반도체 기업에서 25년 이상 영업·마케팅·사업개발 등의 직무를 수행한 전문가다. 강 상무는 “인공지능(AI

    2025-07-01 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