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79〉부동산 정책, 인공지능을 활용하라

    새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과연 어떤 그림을 갖고 있을까. 많은 이들의 관심이 쏠려있는 요즘이다. 최근 정부는 아파트 구입시 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고 일시적 2주택 기간 인정도 엄격하게 하는 등 강력한 정책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청년들의 미래 설계에 있어 큰 부

    2025-07-10 16:00
  • 기사 썸네일
    [GEF 스타트업 이야기] 〈67〉연결의 착시와 고립: 무리로 흩어지는 사회

    “요즘은 말을 해도 못 알아듣는 것 같아.” 이 말은 단순한 세대 차이의 표현이 아니다. 같은 언어를 쓰고, 같은 영상을 보고, 같은 사건을 겪더라도, 우리는 이제 전혀 다른 해석에 도달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기술은 우리를 '연결'시켰지만, 그 연결은 생각보다 얕

    2025-07-10 16:00
  • 기사 썸네일
    [ET단상]브랜드·상표 값이 억소리 난다…'상표가치평가 실무가이드'에 거는 기대

    2007년, 스티브 잡스는 세상을 바꾼 아이폰을 처음 공개하며 한 가지 의문이 들었다. '과연 이 열광은 영원할 수 있을까?' 그가 경영 자문을 구한 인물은 다름 아닌 루이비통 모에 헤네시(LVMH) 회장인 베르나르 아르노. 두 사람은 짧지만 상징적인 대화를 나눴다.

    2025-07-10 16:00
  • 기사 썸네일
    [최은수의 AI와 뉴비즈] 〈24〉생성형 AI, 생산성 혁신하는 '기업의 뇌'로 진화

    “이 기능 구현해줘.” “버그 수정해줘.” “이건 무슨 의미야?” 이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자연어로 인공지능(AI) 코딩 에이전트 '커서(cursor)'에게 요청하면 AI가 즉시 코드를 생성해주고 오류의 원인을 분석해 해결책까지 제시해준다. 생성형 AI는 지금 개발

    2025-07-10 16:00
  • 기사 썸네일
    [데스크라인] '실용의 첫걸음' 대한민국 에너지

    1907년 기상 관측 이래 유례를 찾기 어려운 7월 초순의 폭염이 대한민국을 달구고 있다. 폭염이 시작되면 어김없이 전력예비율부터 확인하게 된다. 다행히 냉방 수요가 몰리는 최대 피크 시간대에도 전력예비율은 10%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평소에는 체감하기 어렵지만, 에

    2025-07-10 14:55
  • 기사 썸네일
    [ET단상] AX 기반 위험 예측형 플랫폼, 산업안전 패러다임 바꾼다

    스마트 공장에서 사물인터넷(IoT) 센서와 지능형 CCTV가 수집한 데이터를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실시간 분석해 개선점을 제시하고 위험을 사전 감지·분석해 사고를 예방한다. 멀지 않은 미래의 얘기 같지만 지금 우리 산업 현장의 모습이다. 산업안전 분야도 AI 전환

    2025-07-09 16:00
  • 기사 썸네일
    [박영락의 디지털 소통] 〈30〉제과업계의 미래 '어떤 콘텐츠로 연결되느냐'에 달려 있다

    디지털 세대는 더 이상 제품만 소비하지 않는다. 브랜드와 함께 '노는 경험'을 원한다. 최근 한국인터넷소통협회 부설 더콘텐츠연구소의 콘텐츠 분석에 따르면, 국내 주요 제과업체들이 단순 홍보를 넘어 세계관과 팬덤을 중심으로 한 콘텐츠 전략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제품

    2025-07-09 16:00
  • 기사 썸네일
    [ET대학포럼] 〈229〉난립 클러스터, '지속가능 혁신' 옷 입고 환골탈태할까?

    최근 글로벌 사회경제 전 분야에 불어닥치고 있는 '지속가능 혁신'은 미래 생존의 필수 요건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미래 국가 경쟁력 향상 및 기술혁신 핵심인 클러스터 정책에도 대전환을 만들어야 한다. 그동안 산업 성장에만 매몰되어 파편적으로 운영되던 클러스터들이 이제는

    2025-07-09 16:00
  • 기사 썸네일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20〉R&D 예산 복구, 치료없이 봉합만 반복

    연구개발(R&D) 예산을 다시 복구하겠다고 새 정부가 발표했다. 지난 정부가 대폭 삭감했던 것을 복원한다니 얼핏 반가운 소식처럼 들리지만, 현장의 우려는 깊다. 단순히 예산을 늘리는 것이 곧 R&D 정상화는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준비되지 않은 복구는 곪은 상처를 치

    2025-07-09 16:00
  • 기사 썸네일
    [여호영의 시대정신] 〈34〉중소기업 임금격차 더 벌어지고 있다

    대기업 기준 대비 중소기업 임금 비율이 1980년 94%부터 점차 격차가 벌어져, 2024년에는 62%까지 벌어 졌다. 이 추세가 해가 거듭할수록 더 심해 지고 있다는 것이 임금 격차 문제의 심각성을 드려내는 지표가 된다. 1980년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대기업과 중소

    2025-07-09 16:00
  • 기사 썸네일
    [사이언스온고지신]전기차 캐즘, 하이브리드차 유행 뒤의 고민

    최근 자동차 시장은 격변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대세'로 여겨지던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주춤하면서 미래 모빌리티 전략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1~2년 전만 해도 전기차 시장은 거침없는 성장을 구가했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국내 판매량 통계는 낙

    2025-07-09 15:01
  • 기사 썸네일
    [ET톡]정보보호의 날 기념식 대통령 축사 대독 아쉬움

    “제14회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을 대통령 행사로 세팅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 이재명 대통령이 참석하느냐'는 질문에 대한 정부 관계자 답변이다. 아무것도 확정된 건 없지만 이 대통령이 기념식에 참석해 자리를 빛내줬으면 하는 바람이 엿보였다.

    2025-07-09 13:31
  • 기사 썸네일
    [기고]원화 스테이블코인 '일대일 준비금' 넘어 '실시간 검증'이 관건

    최근 국회가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발의하며, 한국 디지털 자산 시장의 제도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이번 법안은 가상자산 발행, 유통, 투자자 보호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며, 특히 스테이블코인 관련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발행 시 반드시 일대일 지급준비금을

    2025-07-08 16:00
  • 기사 썸네일
    [기고]창의성 기반 기술혁신을 통한 국가 도약 전략

    인공지능(AI), 디지털, 바이오, 나노 기술이 서로 융합해 전 세계 산업과 사회의 경계를 재편하고 있다. 기존 기술을 단순히 개선하거나 효율화하는 방식으로는 더 이상 경쟁력을 유지하기 어려운 시대다. 대한민국이 다시 한번 도약하려면 창의성과 융합을 중심에 둔 기술혁신

    2025-07-08 16:00
  • 기사 썸네일
    [김종면의 K브랜드 집중탐구] 〈38〉감성과 기능의 경계를 넘다, 신저(SHINJEO)

    '옷은 입는 것이고, 모자는 표현이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옷차림 전체를 조화롭게 완성해주고 평범한 옷차림도 전혀 다른 패션 아이덴티티를 선사하는 마지막 한 끗. 실용성과 미학을 모두 아우르기에 패션의 완성이라 불리는 모자로 세계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는 브랜드가 있습

    2025-07-08 1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