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기고] 차기 정부에 바라는 사이버 보안 안전 국가

    2300만명의 가입자를 보유하고 있는 SK텔레콤의 유심(USIM: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정보가 해킹되면서 온 나라가 떠들썩하다. 우리는 잊을만하면 대형 사이버 해킹사고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는데,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없

    2025-05-15 16:00
  • 기사 썸네일
    [김장현의 테크와 사람] 〈75〉주요 정당의 AI 공약

    아직은 선거운동 초반이라 각 정당의 공약이 완성된 수준으로 제시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정당이 앞다퉈 인공지능(AI) 관련 공약을 쏟아내고 있으므로, 한 번 살펴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 같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정부 주도의 AI 인프라 구축을 강조하는 것으로

    2025-05-15 16:00
  • 기사 썸네일
    [사이언스온고지신]한의학·뇌과학 융합해 뇌질환 극복 기술 개발

    2025년 기준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라 노화로 인한 신경퇴행성 질환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2050년까지 신경퇴행성 질환 환자가 세계적으로 1억1400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도 퇴행성 뇌질환인 치매 및 파킨슨병 환자 수가

    2025-05-14 16:01
  • 기사 썸네일
    [ET대학포럼] 〈221〉과학기술 대전환의 기로: 인재 유출을 막고 혁신을 살리려면

    최근 중국의 인공지능(AI) 딥시크(DeepSeek)가 주목을 받고 있다. 지방대 출신의 무명 수학 천재가 극히 적은 투자로 개발한 AI라는 점에서 더욱 이례적이다. 중국은 이처럼 AI와 첨단 기술 분야에서 빠르게 부상하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천인계획(Thousan

    2025-05-14 16:00
  • 기사 썸네일
    [임성은의 정책과 혁신] 〈16〉대통령과 교황 선출의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유, 존엄,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이른바 인권은 하늘이 부여한 것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하늘이 부여한 또 다른 권력이 있으니, 바로 대통령직이다. 1987년 헌법 개정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를 쟁취했지만, 대통령은 여전히 '하늘이 점지해 주는

    2025-05-14 16:00
  • 기사 썸네일
    [ET톡]반도체 '정책 진단'이 시급하다

    지난 12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경기 화성에서 반도체 웨이퍼에 '세계 1위 반도체 강국 도약'이라는 문구와 함께 서명을 남겼다. 지지율 1위 대선 후보가 공식 선거 운동 첫날, 반도체 산업 육성 의지가 엿보여 주목됐다. 약 6년 전 이맘때 문재인 전 대통령

    2025-05-14 14:36
  • 기사 썸네일
    [기고]소비자는 이미 합리적인 소비로 전환했다

    과거를 이해하면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 대략 5년 전만 해도 국내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의 신년사 화두는 디지털전환(DX)이었다. 팬데믹으로 공급체계가 붕괴되면서 무인·자동화로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스마트팩토리 구축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2025-05-13 16:00
  • 기사 썸네일
    [전문가 기고] AI 시대, 진주성 촉석루에서 배운 교훈

    아침 산책 중 진주성 촉석루를 걷다 오래된 화포 앞에서 발걸음을 멈췄다. 수백년 전 이 무거운 대포가 성을 지키던 모습을 떠올리며, 인공지능(AI) 시대에 필요한 '무기'는 어떤 모습이어야 할지 생각해 보았다. 조선은 세계적으로도 이른 시기에 화약 무기를 개발한 나라였

    2025-05-13 16:00
  • 기사 썸네일
    [기고]AI 정책 컨트롤타워 신설 시급

    6월 3일 대통령 선거일이 공지되면서 대선정국으로 온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촉박한 일정 속에 개헌 등 큰 그림 그리는 논의만 진행 중이고 국민이 먹고 사는 민생 관련 정책들을 논의할 분위기는 아닌 듯하다. 6월에 들어설 새 정부는 인수위원회도 없이 급조된 조직과 정책

    2025-05-12 16:00
  • 기사 썸네일
    [디지털문서 인사이트] 디지털 전환, 전자영수증은 '배려'에서 출발해야

    종이 대신 전자영수증을 사용하는 것은 이제 낯설지 않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매장에서 종이영수증을 받는 모습을 보면, 기술의 유무보다 중요한 것은 '누가, 어떻게, 쉽게 이용할 수 있는가'라는 점을 실감하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 중심의 설계와 공공성 확보

    2025-05-12 16:00
  • 기사 썸네일
    [ET톡]클라우드, 질문 없이 성장도 없다

    “너라면 어떤 질문을 하겠니?” 지난해 4월 신입 기자인 나를 취재 현장에 데려간 선배의 말이다. 선배는 이날 마주치게 될 취재원을 대상으로 3가지 질문을 뽑아오라고 내게 지시했다. 기자가 질문하는 목적은 명확하다. 뉴스가 되는 새로운 정보를 얻기 위함이다. 그러나 그

    2025-05-12 14:17
  • 기사 썸네일
    [기고] 실무 현장에 필요한 비즈니스용 AI 프롬프트 템플릿 설계 중요성

    이제 기업의 다양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챗GPT, 그록, 클로드, 클로바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는 더 이상 '참고 도우미'가 아니라 실행형 파트너로 진화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바로 비즈니스 도메인별 프롬프트 디자인 능력이 있다. 예를 들어 보자. 다음은 중견 제조

    2025-05-12 08:09
  • 기사 썸네일
    [전화성의 기술창업 Targeting] 〈347〉 [AC협회장 주간록57] 스타트업 스튜디오, 한국 창업 생태계 새 해법

    한국 창업 생태계가 변하고 있다. 벤처캐피털(VC)과 액셀러레이터(AC)가 주도하던 초기 투자 방식에서, 이제는 스타트업 스튜디오(벤처 스튜디오)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스타트업 스튜디오는 단순히 투자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디어 발굴부터 창업, 운영, 후속 투자까지 전

    2025-05-11 17:00
  • 기사 썸네일
    [김태형의 혁신의기술] 〈28〉AI융합- 기술과 사람중심의 지능적 연결을 향하여

    'AI 융합(AI Convergence)'이라는 단어는 오늘날 기술과 정책, 산업 담론의 중심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마치 그것이 미래 사회를 위한 필수 조건이자, 모든 문제의 해결사처럼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 단어를 접할 때마다 우리는 자문해야 한다. AI 융

    2025-05-11 16:00
  • 기사 썸네일
    [기고]생성형 AI 시대, 딥페이크 사기와 소셜 엔지니어링 방어 전략

    생성형 AI(Generative AI)의 발전은 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새로운 차원의 사이버 위협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딥페이크(Deepfake) 기술의 고도화는 얼굴과 목소리를 넘어, 개인의 말투와 맥락까지 모방하며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물

    2025-05-11 1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