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기계연, 고효율·고안정성 파지 기능 '로봇의수' 개발

    단순한 동작 명령으로 정밀한 손끝 집기와 물체 형상에 맞춘 적응형 파지가 가능한 초경량 로봇의수가 개발됐다. 단일 구동기로 엄지의 2자유도 움직임을 각각 개별 제어할 수 있는 혁신적 메커니즘을 구현, 세계 최고 수준의 사용자 편의성과 경량성을 달성했다. 해외 제품에 의

    2025-05-29 13:40
  • 기사 썸네일
    KIST, 짙은 안개에도 또렷한 '초저잡음 고감도 광검출기' 개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원장 오상록)이 짙은 안개와 같은 산란광 환경에서도 초저잡음으로 작동하는 '고감도 유기 광검출기(OPD)'를 개발했다. 산악도로, 공항 활주로 등에서 짙은 안개로 영상 기반 인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이를 해소할

    2025-05-29 13:33
  • 기사 썸네일
    생명연, 인공혈액 성과 앞당길 '차세대 면역결핍 미니돼지' 개발

    전 세계적으로 혈액부족 현상이 사회 문제로 급부상하는 가운데, 우리 연구진이 면역결핍 미니돼지 성과를 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권석윤)은 김선욱 미래형동물자원센터 박사팀이 유전체편집과 형질전환·체세포핵치환 기법으로, 고도로 면역결핍된 미니돼지를 세계 최초 개발했다

    2025-05-29 13:26
  • 기사 썸네일
    KAIST, 슈퍼박테리아 '방패' 무력화 할 '창'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이 '미세방울'을 이용해 슈퍼박테리아의 미생물막 '바이오필름'을 무너뜨리는 기술을 개발했다. 슈퍼박테리아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은 높은 항생제 내성뿐 아니라 바이오필름을 형성, 외부 치료제를 차단하는데, 이를 무

    2025-05-29 13:16
  • 기사 썸네일
    특구재단, 태국 사이언스파크와 글러벌 기술사업화 협력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태국 사이언스파크TSP와 글로벌 기술사업화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29일 밝혔다. TSP는 태국 국가과학기술개발청(NSTDA)이 조성한 태국 최초·최대 규모 사이언스파크로, 아세안 지역 대표 산·학·연 기술사업화 플랫폼이다. 식품, 바이오, 에너지

    2025-05-29 13:06
  • 기사 썸네일
    머리카락 보다 얇은 필름으로 초고주파 대역 완벽 차단…세계 최고 수준 소재 합성 성공

    머리카락 굵기보다 가는 필름으로 초고주파 대역 전자파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맥신(MXene) 소재가 개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 권순용 교수 및 최은미·변강일 교수 연구팀이 이건도 서울대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고순도이면서 성분 조절이 가능

    2025-05-29 12:00
  • 기사 썸네일
    국립대구과학관, KIRO 로보라이프뮤지엄에 생활속 과학 전시콘텐츠 순회 지원

    국립대구과학관(관장 이난희)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2025년 상반기 권역별 과학관 전시콘텐츠 교류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오는 26일부터 9월 29일까지 약 4개월간 한국로봇융합연구원(KIRO) 로보라이프뮤지엄에 생활 속 과학 전시콘텐츠를 순회 지원한다고 29일 밝

    2025-05-29 10:00
  • 기사 썸네일
    ETRI, 5일 '디지털 미래' 견인 핵심기술 공개한다

    대한민국 디지털 혁신을 이끌 핵심기술과 연구성과를 공개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5일 코엑스에서 'ETRI 컨퍼런스 2025'를 개최한다. 이번 컨퍼런스 주제는 'ETRI의 현재, 대한민국의 미래'로 △인간·로봇이 공존하는 차세대 인공지능(A

    2025-05-29 09:49
  • 기사 썸네일
    단국대, 초고밀도·저전력 차세대 메모리 핵심 '강유전 액정' 소재 개발

    단국대학교는 조병기 화학과 교수 연구팀과 UNIST 신태주 교수팀이 상온에서도 안정적으로 분극을 유지할 수 있는 '강유전 액정 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소재는 초고밀도, 저전력 차세대 메모리 소자 구현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2025-05-29 08:57
  • 기사 썸네일
    생명연과 충남대, '공동융합기술연구원' 설립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충남대는 인재 양성, 융합 연구를 위한 '공동융합기술연구원' 설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두 기관은 이날 오후 충남대 융합교육혁신센터 콘퍼런스홀에서 업무협약 및 협력 각서를 교환했다. '글로벌 탑 레벨 연구와 교육' 공동 심포지

    2025-05-28 18:49
  • 기사 썸네일
    KAIST 테라랩, 내달 11일 '차세대 HBM 로드맵 기술 발표회' 개최

    향후 15년간 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HBM) 아키텍처와 구조, 성능, 세대별 특성을 미리 전망해 보는 기술 발표회가 열린다. 김정호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 연구실(테라랩)은 인공지능(AI) 시대를 이끌어갈 핵심 기술인 HBM4부터 HBM8에

    2025-05-28 18:37
  • 기사 썸네일
    故 박달조 한국과학원 원장 등 과학기술유공자 6인 헌정식 개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8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 헌정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지난해 12월 과학기술유공자로 지정된 △고(故) 박달조 한국과학원 2대 원장 △박성현 서울대 명예교수 △이서구 이화여대 석좌교수 △고 최남석 LG화학기술연구

    2025-05-28 17:27
  • 기사 썸네일
    화재 골든타임 지켜주는 세대별 대피함...볼드패닉룸, '폴딩패닉룸' 주목

    고층 건물 화재 시 대피가 어려운 현실 속에서, 실내에서 구조를 기다릴 수 있는 대피 솔루션이 주목받고 있다. 볼드패닉룸(대표 남중오)은 체류형 화재대피시설인 '폴딩패닉룸'을 상용화하며 국내 아파트 중심으로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폴딩패닉룸은 발코니 외

    2025-05-28 17:00
  • 기사 썸네일
    [포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무분별한 공유 PM 'AI로 단속'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등 공유형 개인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PM)의 불법 주정차로 인한 보행자 불편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를 활용해 공유형 PM의 주정차를 단속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연구본부 연구

    2025-05-28 15:29
  • 기사 썸네일
    [포토] 공유 PM 'AI로 단속'

    전동킥보드와 전기자전거 등 공유형 개인 이동장치(Personal Mobility, PM)의 불법 주정차로 인한 보행자 불편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인공지능(AI)를 활용해 공유형 PM의 주정차를 단속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교통연구본부 연구

    2025-05-28 1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