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학자
글로벌 코리아로 나아가기 위한 열쇠는 과학기술에 달려있다. 전자신문의 대한민국 과학의 미래를 떠받치는 대표 과학자를 소개한다.
-
- 임한권 UNIST 탄소중립실증화연구센터장

- 임한권 UNIST 탄소중립실증화연구센터장(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은 화학공정설계 전문가다. 탄소중립 구현의 핵심인 수소생산기술을 비롯해 각종 에너지 공정설계와 관련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전공인 공정설계와 수소기술 경제·환경성 분석, 이산화탄
- 2023-09-24 11:29:00
-
- 이창준 IBS 단장 “뇌인지장애 치료 가능해질 것…지속 지원으로 인류 공헌 가능하길”

- 알츠하이머, 치매를 비롯한 뇌인지장애 원인이나 치료법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격론의 한 가운데에 있다. 알츠하이머 환자 뇌에서 발견되는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주성분인 ‘아밀로이드 베타’나 응집체인 ‘타우 탱글’을 이루는 ‘타우단백질’이 원인으로 지목돼, 관련 치료제 연
- 2023-09-17 12:00:00
-
- 홍승우 라온소장, “라온 2단계 성공 확실시...대한민국 과학 위상, 산업 역량 제고할 것”

-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의 성공은 시간과 경험의 축적에 달린 문제입니다. 과학적으로 ‘가능하다’고 이미 검증된 것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도전적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끝은 결국 성공일 것이라고 자신합니다.” 홍승우 기초과학연구원(IBS) 중이온가속기연구소장은
- 2023-09-10 00:00:00
-
- 한대용 케이메디허브 의료기술시험연수원 추진단장

- “의료기술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새로운 의료기술을 빠르게 익히는 일이 의료인들에게 중요하지만 의대 졸업 후 마땅히 실습 받을 시간과 장소는 마땅치 않습니다.” 한대용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술시험연수원 추진단장(책임연구원)은 수의학자로서 1
- 2023-08-13 15:00:00
-
- 김상묵 한국광기술원 광에너지연구본부장 “광기술·AI 융합 에너지솔루션 창출”

- “탄소 중립을 실현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광에너지의 효율적인 생성·저장·전환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기반이 되는 광기술과 AI융합에너지솔루션은 미래의 에너지 시스템을 지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김상묵 한국광기술원 광에
- 2023-07-09 10:00:00
-
- 권선형 ETRI 책임연구원, “우리 기술력 담긴 ATSC 3.0 세계로 뻗어가길”

- “저를 포함, 우리 연구진의 노고가 서린 초고화(UHD) 방송 표준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기로에 있습니다. 많은 나라가 이를 활용해 우리나라 위상을 드높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권선형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미디어방송연구실 책임연구원은 UHD 방송, 그
- 2023-07-02 13:00:00
-
- 신태호 한국세라믹기술원 수소에너지소재센터장

- “세라믹 첨단소재 연구개발(R&D)과 성과로 미래를 열어간다는 생각에 아침마다 연구실로 가는 발걸음이 가볍습니다.” 신태호 한국세라믹기술원(KICET) 수소에너지소재센터장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소재를 집중 연구해 온 수소·연료전지 전문가다. SOFC는
- 2023-06-09 17:00:00
-
- 오은진 포스텍 교수 “공학문제를 수학적 기법으로 풀어낸다”

- 구글맵, 네이버 지도와 같은 지도앱은 목적지까지 최적 경로를 찾아준다. 내비게이션으로 사용할 때는 고속도로와 무료도로에 따라 다른 경로를 찾기도 하고, 지하철을 탈 때는 환승을 덜 하거나, 시간이 덜 걸리는...
- 2023-04-30 16:00:00
-
- 조미령 한국광기술원 본부장 “스마트조명 자가 표준 선제 대응”

- “스마트조명 시장이 확대되면서 국제 조명 컨소시엄인 자가(Zhaga) 표준 도입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조명 분야 호환 환경을 구축하고, 핵심부품 재사용으로 순환경제 기반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2023-04-02 10:00:00
-
- "펄스파워 응용기술 확산 선도" 장성록 한국전기연구원 전기물리연구센터장

- 장성록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물리연구센터장은 펄스파워 전문 연구자다. 펄스파워는 저압 전력을 장시간 충전해 짧은 시간 고압으로 방출하는 에너지 기술이다. 장 센터장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방산, 유해...
- 2023-03-03 09:57:00
-
- 김병국 KIST 혁신기업협력센터장 "연구 역량·경험 살려 기술 사업화 견인"

- “제가 그동안 편하게 연구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이 도와줬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되돌려 주고자 합니다. 제 역량과 경험을 살려 우리 기관 기초원천기술로 사업화 전진기지를 이루고, 기업들의 사업화 과정에 힘을...
- 2023-02-24 13:40:00
-
- 이성원 DGIST 교수, "상용화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구 중요"

- “나노메시 생체소자를 섬유와 결합해 올 상반기 안에 실험실 창업하고, 센서나 전도성 섬유 개발로 사업성을 확인한 뒤 장기적으로 의료분야에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 2023-01-29 13:00:00
-
- 박영균 KAIST 교수 "AR로 생물 실험교육 보다 면밀하게"

- 후학들이 더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과학자가 있다. 뇌 연구 기술을 다루는 박영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관성을 따라 기존 방식을 따라갈 수 있었지만,...
- 2023-01-08 13:00:00
-
- '마이크로 LED 전문 개발자' 김영우 한국광기술원 광원연구본부장

-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풍요롭고 안전한 삶을 지향하는 미래 사회에서 첨단 광기술은 필요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초미세 광반도체는 광산업의 쌀로 첨단 광기술 실현은 우리나라 광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
- 2022-12-11 10:00:00
-
- '세라믹 3D프린팅' 전문가 이정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 이정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본부 수석연구원(첨단정형공정연구그룹장)은 3D프린팅 산업에서 특화 분야인 세라믹 3D프린팅 전문가다. 세라믹 3D프린팅은 금속 주조품을 만들기 위한 세라믹 소재의 주형(주조 틀...
- 2022-11-13 13: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