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학자
글로벌 코리아로 나아가기 위한 열쇠는 과학기술에 달려있다. 전자신문의 대한민국 과학의 미래를 떠받치는 대표 과학자를 소개한다.
-
- "펄스파워 응용기술 확산 선도" 장성록 한국전기연구원 전기물리연구센터장

- 장성록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물리연구센터장은 펄스파워 전문 연구자다. 펄스파워는 저압 전력을 장시간 충전해 짧은 시간 고압으로 방출하는 에너지 기술이다. 장 센터장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방산, 유해...
- 2023-03-03 09:57:00
-
- 김병국 KIST 혁신기업협력센터장 "연구 역량·경험 살려 기술 사업화 견인"

- “제가 그동안 편하게 연구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이 도와줬기 때문입니다. 이제는 되돌려 주고자 합니다. 제 역량과 경험을 살려 우리 기관 기초원천기술로 사업화 전진기지를 이루고, 기업들의 사업화 과정에 힘을...
- 2023-02-24 13:40:00
-
- 이성원 DGIST 교수, "상용화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연구 중요"

- “나노메시 생체소자를 섬유와 결합해 올 상반기 안에 실험실 창업하고, 센서나 전도성 섬유 개발로 사업성을 확인한 뒤 장기적으로 의료분야에 적용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 2023-01-29 13:00:00
-
- 박영균 KAIST 교수 "AR로 생물 실험교육 보다 면밀하게"

- 후학들이 더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는 과학자가 있다. 뇌 연구 기술을 다루는 박영균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가 그 주인공이다. 관성을 따라 기존 방식을 따라갈 수 있었지만,...
- 2023-01-08 13:00:00
-
- '마이크로 LED 전문 개발자' 김영우 한국광기술원 광원연구본부장

-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풍요롭고 안전한 삶을 지향하는 미래 사회에서 첨단 광기술은 필요 불가결한 요소입니다. 초미세 광반도체는 광산업의 쌀로 첨단 광기술 실현은 우리나라 광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
- 2022-12-11 10:00:00
-
- '세라믹 3D프린팅' 전문가 이정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 이정훈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본부 수석연구원(첨단정형공정연구그룹장)은 3D프린팅 산업에서 특화 분야인 세라믹 3D프린팅 전문가다. 세라믹 3D프린팅은 금속 주조품을 만들기 위한 세라믹 소재의 주형(주조 틀...
- 2022-11-13 13:00:00
-
- '공정 설계 최적화 전문가' 김정환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 “공정 설계 최적화는 제품 생산이나 설비 운영에 필요한 원료, 에너지 등을 최적화해 최소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거두는 설계 엔지니어링입니다. 탄소중립에 대응하고 기업 경영 효율도 높일 수 있는 대표적 ESG...
- 2022-09-25 12:00:00
-
- 김동현 한국생산기술연구원 3D프린팅제조공정센터장

- “3D프린팅은 부품, 완제품 등 상용제품 생산공정 기술입니다. 따라서 3D프린팅 기술과 3D프린팅 생산품은 따로 떼놓고 생각할 수 없습니다. 3D프린팅 경쟁력은 시제품이나 상용제품을 어떻게 더 효과적으로 잘 만드...
- 2022-07-17 12:00:00
-
- 이원태 금오공대 교수, "환경공학에 융·복합 기술 접목, 환경산업 발전 도모"

- “융·복합 기술을 환경공학 분야에 접목시키고 기업과 공동연구를 통해 우리 주변의 자연환경 개선뿐만 아니라 국가 환경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습니다.” 이원태 금오공과대 환경공학과 교수(경북도 탄소중립지원...
- 2022-07-03 16:00:00
-
- 이윤철 한국광기술원 모빌리티조명연구센터장

- 이윤철 한국광기술원(KOPTI) 모빌리티조명연구센터장(책임연구원)은 국내 모빌리티 분야 조명 광학 설계 및 제품 개발 전문가다. 지난 20여년간 모빌리티 분야 조명 광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전조등·후미등...
- 2022-06-12 12:00:00
-
- 윤진환 부산대 대학원 화학소재학과 교수

- 윤진환 부산대 교수는 고탄성 이온젤 개발로 주목받고 있는 고분자 연성재료 분야 전문가다. 이온젤은 전기장을 가하면 빛을 내는 유연 전계발광 소자다. 윤 교수가 개발한 고탄성 이온젤은 구부리는 정도의...
- 2022-05-01 12:00:00
-
- 김홍대 생기원 산업환경그린딜사업단장

- “탄소중립과 미세먼지 감축은 시대의 주요 화두이자 국가적 문제입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연구자로서 당연히 신경써야하는 부분입니다. 전폭적인 기관 지원이 있는만큼 좋은 성과가 있을 겁니다.” 김홍대...
- 2022-04-10 14:00:00
-
- 이명재 DGIST 박사, 차세대반도체융합연구소 이끌며 K-반도체 위상 높일 것

- “우리 대학이 보유한 최첨단 반도체 공정 나노팹 인프라와 우수한 연구자들의 연구역량을 한 곳에 결집해 세계 최고 수준 반도체 관련 연구성과를 내겠습니다.” 이명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차세대반도체융...
- 2022-04-03 16:00:00
-
- 남호정 GIST 교수 “AI 이용 신약개발 선도”

- “하나의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10~15년 연구개발 기간과 1조원 이상 비용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신약 개발 과정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하면 신약후보 물질 탐색 시간을 단축하는 동시에 성공...
- 2022-03-06 14:00:00
-
- "액화수소 생산·저장기술 선도" 하동우 KERI 극저온기기연구센터장

- 하동우 한국전기연구원(KERI) 극저온기기연구센터장은 액체수소 생산·저장기술 분야 선도 연구자다. 지난해 국내 처음으로 액체수소를 효과적으로 생산하고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제로보일오프(Zero Boil-off)...
- 2022-02-06 1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