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과학자
글로벌 코리아로 나아가기 위한 열쇠는 과학기술에 달려있다. 전자신문의 대한민국 과학의 미래를 떠받치는 대표 과학자를 소개한다.
-
- 철도 화재 대응 '스마트 대피통로' 개발한 이덕희 철도연 연구원

- “철도 화재 현장에서 승객들이 빠르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대피통로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다시는 지하철 화재로 승객이 목숨을 잃는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랍니다.” 이덕희 한국철도...
- 2021-03-14 14:00:00
-
- 이승민 ETRI 박사 "코로나 이후 AI 및 개인·일상 기술 주목해야"

- “과거 콜레라가 도시를 재탄생시켰던 것처럼, 코로나19가 우리 문명을 이전과는 다른 세계로 이끌게 됩니다. 완전한 디지털 문명 도래에 앞서 준비가 필요합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미래사회와 기술...
- 2021-03-07 12:00:00
-
- 임현호 한국뇌연구원 책임연구원...뇌질환 치료제 개발 선도 연구자

- “우리 뇌의 활성은 신경세포, 신경교세포, 뇌혈관 세포의 정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나타납니다. 각 세포의 막에 존재하는 세포막 단백질의 시공간적 조절이 이들 세포 간 상호작용을 매개하는데 세포막 단백질의 이...
- 2021-02-14 16:00:00
-
- 이영락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장 “R&D 역량 강화”

- “지난 20년간 연구·개발(R&D) 성과를 바탕으로 연구소 위상을 확고히 하고 대형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겠습니다. 국방과 항공우주, 인공지능(AI) 등으로 연구분야도 확장하겠습니다.” 지난해 12월 취...
- 2021-01-17 10:00:00
-
- “연구와 연구정책 시너지 극대화” 김종욱 한국전기연구원 전략정책부장

- “우리나라 생산기술은 선진국 어디에도 뒤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통 기술만으로 세계를 제패할 수 없습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지능형전기를 비롯해 인공지능(AI) 융합형 혁신 제조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박차를...
- 2020-12-04 13:38:00
-
- 최종민 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차세대 태양전지 신진 과학자

- “반영구적 친환경 에너지인 태양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 연구를 통해 관련 분야를 선도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하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최종민 DG...
- 2020-10-25 15:00:00
-
- 이원학 월드콥터코리아 대표 “헬기 공학특성 융합한 무인헬기 R&D 박차”

- “드론산업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탑재능력과 비행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은 한계에 도달한 상황입니다. 헬리콥터 공학 특성을 융합해 구조적인 문제점을 극복하고, 대형드론(무인헬기)을 완성할 수 있도록 연구·...
- 2020-09-27 14:00:00
-
- 김정호 KAIST 교수, “호기심어린 다방면 연구 AI로 융합하겠다”

- 대학 전공은 전기공학이었고, 박사학위는 물리학 분야 연구 끝에 얻었다. 오랜 기간 주력한 분야는 반도체인데, 이 와중에 자동차 부품과 같이 전혀 접점이 없어 보이는 연구도 했다. 종횡무진이다. 스스로도 “전문...
- 2020-09-20 12:00:00
-
- 장인성 KIOST 해양로봇실증단장 "수중건설로봇으로 심해저 자원개발시대 열 것"

- “해양 개발은 한계에 이른 육상자원 개발의 대안입니다. 수중건설로봇은 해저 자원 탐색에서 암반 파쇄, 자원 채취, 이송 파이프라인 구축 등 해양자원 개발에 필수 장비입니다. 수중건설로봇 연구개발(R&D)을 선도...
- 2020-08-30 12:00:00
-
- 이계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회로연구그룹장...뇌의 작동원리 규명에 도전

- “뇌가 올바르게 작동하기 위해서 신경세포 간 정확한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합니다. 신경세포간 소통은 시냅스라는 세포 간 연접 부위에서 일어나는데 시냅스 결함이나 손상이 알츠하이머, 파킨슨, 자폐증, 조현병,...
- 2020-08-02 15:00:00
-
- 양승학 호남대 전기공학과 교수 “철저한 산·학 협력”

- “산·학 협력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대학과 기업이 얼마나 협력하느냐에 따라 성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청년실업과 이공계 위기도 산·학 협력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양승...
- 2020-07-03 13:09:00
-
- 손홍관 KERI 시스템제어연구센터장

- “전기선박과 부품은 성장 초기 단계로 자동차나 반도체처럼 일자리 창출을 비롯해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높은 산업입니다. 세계에서 세 번째로 구축한 선박 전기추진시스템 육상시험소를 기반으로 우리나라를 전...
- 2020-06-05 15:57:00
-
- 조민수 포스텍 컴퓨터공학과 교수...AI의 눈 '컴퓨터 비전' 전문가

- “인공지능(AI)을 가장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분야가 바로 컴퓨터 비전입니다. 우리나라가 가장 앞서나갈 가능성이 높은 분야지요. 포스텍은 이 분야에서 가장 강력한 교수진과 연구그룹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2020-05-17 17:00:00
-
- 반재삼 광주테크노파크 센터장 "생체의료소재부품 산업 육성 최선"

- “인간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치아와 관절의 중요성이 커지고 미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치과와 정형외과뿐만 아니라 안과와 시니어 피부개선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분야까지 의료산업 영역을 넓히겠...
- 2020-04-05 16:00:00
-
- 권용남 재료연 항공우주재료연구센터장

- “항공우주 소재기술은 높은 수준의 신뢰성을 요구하는 분야입니다. 모빌리티(UAM), 우주발사체 등 급성장하는 차세대 항공우주산업에 대응하려면 국가 역량을 결집해 기반 기술로 육성해야 합니다.” 권용남 재료연...
- 2020-02-24 07: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