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딥시크같은 기업, 중국에 100개 더 있다”…한국, 데이터·인재·인프라 총동원해야

    미국과 중국의 미래 패권 전쟁에 대응해 대한민국은 인공지능(AI) 인프라와 데이터, 인재에서 과거와 다른 혁신적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강도현 제2차관은 6일 서울 중구 국가AI위원회 회의실에서 국내 AI산업의 경쟁력을 진단하고 점검하기 위한 간담회를

    2025-02-06 17:00
  • 기사 썸네일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전체 워크샵 열고 '국가AI전략' 수립 착수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2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전체 분과위원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첫 워크샵을 열고 '국가AI전략'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워크샵에는 염재호 부위원장을 비롯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비서관(위원회 간사),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

    2024-12-02 15:30
  • 기사 썸네일
    [창간기획]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 “AI는 문명사적 대전환…새 국가 디자인 고민해야”

    우리나라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가 26일 출범했다. 국가AI위원회는 민·관 역량을 총 결집해 국가 전체 AI 혁신 방향을 이끌 위원회로 대통령 직속으로 구성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위원장을 맡았다. 부위원장으로 임명된 염재

    2024-09-29 17:00
  • 기사 썸네일
    염재호 국가AI위원회 부위원장 “AX시대, 통계청→빅데이터청 개편을”

    염재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부위원장은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에 발맞춰 정부 조직도 대대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가정보원은 산업 관련 경제안보 역할을 강화하고, 통계청은 빅데이터청으로 확대 개편하는 등 AI의 효율적 활용과 효과 극대화를 위한 체계가 필요하다

    2024-09-29 14:30
  • 기사 썸네일
    [기획]국가AI위원회, 예산 확보·AI 기본법 제정 과제로

    정부가 윤석열 대통령으로 위원장으로 하는 국가인공지능(AI)위원회를 26일 출범시킨 가운데 향후 운영에 필요한 예산 확보와 AI 기본법 제정이 과제로 떠올랐다. 국가AI위원회는 연구개발(R&D), 투자전략, 전문인력 양성, 규제개선, 교육·노동 변화 대응, 국익

    2024-09-26 17:00
  • 기사 썸네일
    [기획]국가AI위원회 출범…'4대 AI 플래그십 프로젝트' 추진

    인공지능(AI)이 기술을 넘어 국가 경제·안보를 좌우하고 있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은 AI가 국가 생존과 직결된다고 판단, AI 경쟁력 확보에 나서고 있다. AI가 미래 30년을 좌우할 중대 기로에서 우리나라는 AI 대통령 직속 국가AI위원회를 출

    2024-09-26 14:2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