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美와 셰일가스 및 에너지신산업 분야 협력 방안 강구

산업통상자원부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 '아메리카 퍼스트 에너지' 발표 이후 처음으로 한·미 에너지 분야 협력 방안을 강구했다. 셰일가스 등 미국산 자원 사용 증대와 마이크로그리드 등 에너지신산업 진출과 함께 원전 해체 및 초초임계압 발전 기술 등 전통 에너지산업 기술진화 분야까지 폭넓게 논의했다.

산업부는 21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미 에너지부, 헤리티지재단 등과 함께 '한·미 에너지협력 콘퍼런스'를 가졌다.

콘퍼런스는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미국 에너지 정책 변화에 대응하고, 양국 에너지 업계, 연구계간의 상생 협력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추진됐다. 우리나라에선 SK에너지, LS산전, 한국가스공사, 한수원 등이 참여했다. 미국에선 엑손모빌, GE파워, AES 등이 함께 했다.

우태희 차관은 이 자리에서, 한미 FTA와 경제 협력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키는데 있어, 에너지 분야가 큰 기여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청정에너지 △에너지 안보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중심으로 한 협력을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청정에너지 기술표준, 탄소시장 구축 등과 같은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논의에 공동 협력하고 미국산 셰일가스 도입 및 자원개발 프로젝트 참여 등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인 에너지 확보를 위한 방안을 강구할 방침이다. 여기에 ICT785, 빅데이터78, IoT80,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을 적극 결합해 함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복안이다.

우 차관은 컨퍼런스 이후 케네스 하야트 미 상무부 차관대행과 면담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와의 통상정책 동향을 파악하고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유정용강관(OCTG) 판정 등 최근 미측 수입규제에 대한 우리 정부와 업계의 우려사항을 전달하고 향후 양자 협의계획 등을 논의한다. 3.31 행정명령을 통해 진행 중인 무역적자 분석 관련 동향 및 향후 계획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한다.

조정형 산업정책부(세종)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