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신고하면 건물 층 수까지 신속하게 위치 파악…공간정보 기반 방범기술 개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공간정보기반 지능형방범기술개발연구단이 신속한 범죄 대응을 위해 공간정보 기반의 인프라 및 방범기술 개발과 지자체 실증연구 수행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총 12개 기관이 공동으로 연구단에 참여했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공간정보기반 지능형방범기술개발연구단이 신속한 범죄 대응을 위해 공간정보 기반의 인프라 및 방범기술 개발과 지자체 실증연구 수행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총 12개 기관이 공동으로 연구단에 참여했다.

범죄 발생시 신고자 위치를 건물 층, 상점명까지 구제적인 정보로 제공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정확도 높은 위치 추적으로 현장 범죄 검거율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공간정보기반 지능형방범기술개발연구단이 공간정보 기반 인프라 및 방범기술 개발과 지자체 실증연구 수행을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12개 기관이 연구단에 참여했다.

연구단은 사람의 정확한 위치를 실내외에서 모두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실외의 경우 DGPS(Differential GPS) 오차 보정기술을 활용해 정확도를 높였다. DGPS는 기존 GPS 신호에서 한번 더 지상 기지국으로부터 보정 받는 기술이다. 연구단은 이를 활용해 오차 범위를 10m 이내로 개선했다.

현재 위치 파악 기술로 GPS가 주로 쓰이지만 초고층빌딩 밀집지역, 골목길 등 실외 GPS 음영지역에는 수십에서 최대 100m까지 오차를 보인다. GPS 음영지역에서 범죄가 발생하면 정확한 위치를 찾기가 어려웠다.

연구단은 실내에서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LTE, 지자기센서 등 수십개 차원의 스마트폰 다중복합신호를 분석해 위치정확도를 5m 이내로 개선했다. 건물명, 층수, 상점명, 엘리베이터 등 세부 실내 위치정보도 파악 가능하다. 피해자가 위급 상황시 신고하면 관제센터에 신고자의 정확한 위치가 전달된다.

연구 책임자인 나준엽 건설기술연구원 단장은 “와이파이, 가속도 센서 등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신호의 세기로 사람의 위치를 찾는 다중복합신호처리 기술을 개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인증도 받았다”고 말했다.

위급 상황 시 신고 과정
위급 상황 시 신고 과정

연구단은 CCTV 객체 감지 추적, 다중CCTV협업 기술, 사용자 참여형 소셜 안전 맵도 개발했다. CCTV가 범죄자를 포착, 감지해 추적한다. 범죄발생구역 모든 CCTV가 연계돼 범인의 도주 경로를 추적한다. 소셜 안전 맵은 시민이 안전·유해환경 신고, 자율 방범 등으로 참여하는 서비스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범죄 정보는 주민에게 실시간 제공된다.

연구단이 개발한 기술을 실생활에 적용한 결과 주민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양시 인덕원지구와 오산시 궐동지구에서 2016년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총 3년 6개월에 거쳐 공간정보 기반의 인프라 및 방범기술 시범 사업을 진행했다. 사업이 끝난 후 주민 대상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2.5%가 안전 체감도가 높아졌다고 답했다.

전지연기자 now21@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