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슨정보통신 화의신청..통신장비 부도 도미노 공포

텔슨정보통신 서울지법에 화의 신청

텔슨정보통신이 모 기업인 텔슨전자의 부도 이후 더욱 거세진 금융권의 자금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전격 화의를 신청했다.

 26일 통신장비업체인 텔슨정보통신(대표 김지일)은 은행권과 금융권의 무차별적인 자금회수로 인해 경영환경이 급속히 악화돼 경영정상화를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화의를 신청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벤처붐이 꺼진 이후 사업다각화를 포함한 구조조정에 실패한 국내 통신장비 업체들의 부도 도미노가 우려된다.

김지일 사장은 “텔슨전자 부도 이후 금융권의 자금회수와 이로 인한 자금압박으로 어려움이 가중됐다”며 “일시적인 자금 유동성만 해결된다면 제품력을 인정받은 VDSL을 앞세워 경영정상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사장은 이어 “전 임직원들의 뼈를 깍는 노력을 앞세워 빠른 시간 내에 경영정상화를 이룰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경=무엇보다 모 기업인 텔슨전자의 부도가 가장 큰 이유다. 텔슨정보통신은 그동안 구조조정과 VDSL의 일본 수출 호조로 회복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텔슨전자의 부도로 인해 금융권이 무차별적으로 자금회수에 들어가면서 자금압박이 심해졌다. 이와함께 △통신사업자의 투자 축소로 인한 국내 매출 악화 △업체간 과당·출혈 경쟁 △사업다각화 노력 부진 등도 한 몫을 했다. 또 이 회사의 주 영업부문 이었던 무전기·전화기사업 및 CDMA사업에 대한 불용·부실 자재의 폐기 등으로 생긴 약 400억원 가량의 불용 자재의 손실 처리 비용도 컸다.

  ◇텔슨정보, 어떤 회사인가=텔슨정보통신은 지난 85년 유무선 통신기술 기업으로 설립됐다. 이후 국내 대표적인 VDSL 업체로 성장, 한때 매출이 800억원대에 달할 만큼 견실한 업체로 성장했다. 지난 2003년에는 코스닥에 상장돼 있는 네트워크 장비 전문업체로는 유일하게 영업 이익을 달성하기도 했다.

 ◇파장=네트워크 장비업계도 텔슨정보통신의 화의신청을 계기로 구조조정의 파고를 만난 것으로 보고 있다. 텔슨은 지난해 180명의 직원을 75명으로 줄이고 생산라인을 폐쇄, 아웃소싱으로 돌리는 등 구조조정을 벌였다. 공장부지와 건물을 매각하는 등의 노력도 벌였다. 사업다각화에 나서 무전기·전화기사업 등의 사업도 벌였다. 하지만 금융권은 지난해만 100억원 이상의 자금을 상환하는 등 대출보다는 자금회수에만 골몰했다. 모 회사인 텔슨전자의 부도 여파가 컸다. 이에 따라 매출감소와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통신기업들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전망=텔슨정보통신은 일단 경영정상화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회사측은 일시적인 자금 유동성 문제이니만큼 화의 수용을 통해 위기만 벗어나면 경영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하지만 모 기업인 텔슨전자의 처리방향이 서지 않은 상황에서 텔슨정보통신의 앞날을 낙관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텔슨정보통신의 화의신청은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견·중소 통신장비의 어려움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라며 “이미 몇몇 통신장비 업체의 어려움이 터져나올 것으로 예상돼 업계 전체의 구조조정의 전주곡이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지난 25일 텔슨전자에 대한 화의절차 개시결정을 내렸다. 서울지법은 텔슨전자에 대해 실사 후 조사보고서를 제출토록 했다. 채권신고기한은 10월 6일까지, 채권자 집회기일은 12월 7일로 각각 정해졌다.

 홍기범기자@전자신문, kbh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