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대학 평가에 e러닝 활용도 항목을 신설한다. 또 교육인적자원부·산업자원부·정보통신부 등 e러닝 유관 부처 고위 관계자가 한 자리에 모여 e러닝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공개 논의하는 자리가 내년 초 마련된다.
한국이러닝산업협회(회장 김영순)가 21일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e러닝 전문기업·학계 관계자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한 ‘e러닝 정책 간담회’에서 김영식 교육부 차관은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산업계의 요구를 적극 수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교육부의 내년 e러닝 주요 정책을 설명하고 e러닝 기업의 현황 및 대정부 건의사항 등을 직접 수렴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이다.
특히 참가 기업들은 사이버가정학습 등 각종 교육정보화 사업 입찰시 중소 e러닝 전문기업들이 대기업·외국기업에 밀려 대접받지 못하는 현실과 예산 및 콘텐츠 부족 문제를 호소하며 정부의 지원을 강구했다.
정태원 케이원시스템 사장은 “교육정보화 입찰시 국산 중소 e러닝 기업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며 “공공기관 프로젝트 대기업 참여 제한 정책을 대학 등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순 한국이러닝산업협회 회장은 “대학 시장 확대를 위해 대학 평가시 e러닝 활용도 항목을 첨가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며 “포스트 e러닝 시장에 대비해 3∼4년 뒤를 내다보는 국가적인 대규모 정책 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김 차관은 △교육정보화 프로젝트 입찰 전반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연구 △중소기업청·산자부 등이 운영하는 e러닝기술펀드 도입 △대학 평가시 e러닝 적용 정도 평가 등 기업들이 제시한 요구사항을 집중 검토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김 차관은 “한국이러닝산업협회가 보다 적극적으로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도록 협회에 연구 지원비를 배정하고 이를 정책으로 연계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며 “e러닝 유관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부처별 역할과 산업 발전 과제를 모색하는 통합 정책 간담회를 빠른 시일 내에 개최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유경기자@전자신문, yu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