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금융거래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년 5월 ‘금융보안기술연구소(가칭)’가 설립된다.
금융감독원은 21일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관에서 ’피싱 대응 금융 정보보호 기술 세미나’를 개최하고 전자금융 보안사항에 대한 실질적 운영과 대응을 담당할 전담 기구를 내년 설치한다고 밝혔다.
금감원는 내년 5월 중 금융보안기술연구소 출범을 목표로 내년 초 설립추진위원회를 발족할 예정이다.
금융보안기술연구소는 국정원 국가사이버안전센터(NCSC)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 정보공유분석센터(ISAC) 등 유관기관에서 제공되는 금융정보에 대한 시험을 수행한다. 연구소는 금융부분에 사용하는 정보보호제품에 대한 시험과 평가, 인증도 담당한다. 또 금융 정보보호와 IT부분 정책의 연구 개발도 병행하면서 내년 말 설립 예정인 일회용패스워드(OTP) 통합 인증 업무도 함께 수행할 예정이다.
연구소는 사단법인 성격으로 운영되며 기구의 정상화까지 금감원에서 인력과 설립을 지원한다. 초기 연구소는 10여명의 상근 인력을 두고 금융회사에서 파견된 인력으로 시작한다.
김인석 금감원 IT감독팀장은 “금융 정보보호의 공동 관심사에 대한 대응을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소 설립을 준비중”이라며 “전자 금융 거래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해킹의 위험도 높아져 그 역할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이동훈 고려대 교수는 “금융거래에 대한 정보보호는 다른 분야보다 더욱 강도 높은 검증이 필요하다”며 “금융보안기술연구소가 설립되면 금융 서비스의 보안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인순기자@전자신문, in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