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 배후지역을 국제산업물류도시로 조성, 부산을 ‘동북아 물류허브’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강화된다.
이명박 대통령은 15일 부산시청에서 열린 부산시 업무보고에서 “(강서 첨단산업물류단지 조성사업은) 부산이 동북아 물류중심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현안으로 국가와 지방이 적극 협력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를 희망한다”며 “(강서지역 그린벨트 해제 문제는) 부산시가 산업용지 확보문제를 포함한 구체적인 계획을 제시하면 정부도 가능한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부산시는 이에 따라 현재 개발 중인 부산신항 배후지 11㎢(330만평)에 추가로 강서 일대 50㎢의 용지를 그린벨트에서 해제해 항만과 공항, 철도를 연계한 국제복합물류단지와 동남광역권 산업단지, 주거와 업무관광위락 기능을 갖춘 친환경적 배후도시를 건설할 수 있게 됐다.
부산시와 부산발전연구원 등에 따르면 신항만 배후지역인 부산 강서는 그린벨트로 묶여 있어 증가하는 신항만 관련 산업물류 용지 수요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하고, 선진 물류도시처럼 대규모 산업·물류단지를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어왔다. 상하이 양산항은 배후지역에 전체 300㎢(9000만평) 규모의 복합단지(도시) 조성을 추진 중이고, 두바이 제벨알리항은 기존 배후단지(50㎢, 경제자유구역) 이외 항공과 연계한 물류단지 등 40㎢를 추가 건설 중이다.
이 대통령은 이어 열린 부산발전전략토론회에서는 유가급등과 곡물가 상승 등을 외환(外患)으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해법으로 수출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기름값이 오르고 곡물값이 상승하는 것은 피할 길 없다”며 “외환은 어쩔 수 없지만 내우(內憂)는 하나가 돼서 극복을 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수출을 70%는 해야 경제가 유지되는 우리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힘든 조건”이라며 “우리 국민들은 악조건일 때도 힘을 모아 극복하는 저력을 보여 온 강점을 갖고 있다”며, 수출을 통한 극복 의지를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허남식 시장을 비롯한 구청장·군수, 민간단체장 등 180여명이 참석했다.
부산=김상룡·임동식기자 sr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