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입사 총장추천제 대학 서열화논란...삼성 `서류만 면제대상, 그동안 입사자·대학 특성고려`

삼성그룹이 올해 신입사원 채용부터 각 대학 총장 추천제를 도입하고 대학별 추천 인원에 차등을 둔 것을 놓고 논란이 커지고 있다.

삼성이 대학별 추천 인원에 차등을 둔 것을 두고 사실상 삼성이 대학까지 서열화에 나서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삼성은 그동안 불필요한 삼성 특화 입시제도가 성행하는 것을 막고 인재 수급의 다양성 차원에서 대학 총장 추천제를 도입했다며 적극 해명에 나서고 있다.

27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그룹은 지난 15일 서류전형을 강화하는 내용 등의 `신입차원 채용제도` 개편안을 발표하면서, 각 대학 총장이 추천하는 인원은 서류전형을 면제해 주기로 했다. 그 후속 조치로 삼성은 각 대학에 총장이 추천할 수 있는 인원을 최근 통보했다.

대학가에 따르면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115명(저소득층 인원 제외)의 추천 인원을 할당받았다. 서울대와 한양대에 각각 110명, 경북대와 연세대, 고려대는 각 100명씩을 배당받았다. 뒤를 이어 부산대(90명)와 인하대(70명), 경희대(60명), 건국대(50명), 중앙대·부경대·영남대·아주대(45명), 전남대·동국대(40명), 광운대(35명) 순으로 추천 인원이 많다.

삼성 측은 최근 몇 년 동안의 대학별 입사자 수와 대학 규모, 특성 등을 고려해 추천인원을 배정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삼성이 추천을 받는 학생 수가 대학 순위처럼 오인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배정한 인원 수 자체가 `대학 서열`처럼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자칫 `삼성 추천받은 학생 수=우수 대학 순위`로 이해되면서 향후 대학 입시 자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재단으로 삼성과 연결된 성균관대가 가장 많은 인원을 배정받은 것을 두고도 특혜 시비가 나온다. 지방대학 가운데도 호남보다 영남 지역 대학이 추천인원이 많은 것도 논란의 대상이다. 영남권 경북대와 부산대는 각각 100명, 90명을 할당받았지만, 호남권의 전남대와 전북대는 각각 40명, 30명을 배정받았다.

삼성 관계자는 “총장 추천 자체가 삼성 입사 합격이 아니고 서류 심사만을 면제하는 것”이라며 “그동안 삼성 입사 실적, 이공계 특성화 대학 등을 중심으로 추천 인원을 배정했고, 지역과 여성 인력 채용 비율은 이전과 그대로 일정 부분을 유지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공계에 강점이 있거나 전문 특성화 학과를 두고 있는 대학이 있는데, 삼성의 사업 영역 특성상 이런 학교에 배정이 많은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라며 “아직까지 제도 보완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의 적극적 해명에도 논란은 확산되고 있다. 일부 대학에서는 추천 인원에 불만을 갖고 삼성의 추천제를 총장이 거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대학을 넘어 일부 지방 자치단체나 정치권까지 관련 사안에 목소리를 높여가는 상황이다. 이날 서울 광화문광장에서는 총장 추천제에 반대한다는 일부 시민단체의 일인시위까지 등장했다.

재계 관계자는 “서류 심사에서 놓칠 수 있는 인재까지 각 대학 총장의 추천을 받는다는 취지 자체는 문제가 없다”며 “다만, 삼성 내부 기준이 외부에 노출되면서 순위에 민감한 대학·지자체에 논란의 빌미가 된 만큼 내용 점검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김승규기자 seung@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