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창규 KT 회장이 세계 통신업계에 사물인터넷(IoT) 데이터를 공유하는 글로벌 허브를 설립하자고 제안했다.
표준화된 공유 플랫폼에 기반을 두고 디바이스 사업자, 소프트웨어 개발자, 통신사가 IoT 데이터를 자유롭게 교환하는 글로벌 생태계를 조성하자는 것이다.
국가별로 따로 운영하는 IoT 데이터를 검색, 활용할 수 있는 ‘IoT 데이터 API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하자는 의견도 내놓았다.
황 회장은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MAE) 2014’ 기조연설에서 이 같은 구상을 밝혔다.
황 회장은 먼저 IoT 산업 전체에서 표준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황 회장은 “사물에 탑재되는 칩세트 규격부터 사물 간 통신 규약이 난립해 혼란이 크다”며 “이를 국제 표준화해 사업자는 개발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이 보다 쉽게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표준화와 함께 ‘글로벌 IoT 데이터 공유 허브’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다.
황 회장은 “현재까지 나온 대부분 IoT 비즈니스 모델은 센서, 디바이스로부터 나온 정보가 제각각 특정 목적에만 쓰이고 있다”며 “다른 곳에는 활용할 수 없는 데이터 사일로(Silos) 구조로 다양한 데이터 공유를 활용한 융합형 비즈니스 창출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가별로 따로 운영하는 IoT 데이터 플랫폼을 표준화하고 합쳐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통신 사업자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황 회장은 실천방안으로 “우선 각국 시스템별로 저장된 IoT 데이터를 검색, 접근,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API 마켓플레이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IoT는 향후 10년간 총 19조달러에 이르는 경제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에 연결된 사물의 상태를 수집-분석-융합해 활용하는 등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수단으로 꼽힌다.
구글, 애플, 삼성, LG 등 제조 기업은 물론이고 KT, SK텔레콤, AT&T, 버라이즌 등 통신기업 그리고 인텔 등 전자부품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계가 IoT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황 회장은 “IoT 시대가 꽃을 피우려면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도 협력이 필요하다”며 공통 비전과 표준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할 수 있는 IoT 글로벌포럼(IoT Eco Forum)을 출범하자고 제안했다.
상하이(중국)=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
-
김시소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