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 시대에 중소기업이 당면한 과제는 글로벌화다. 한국을 이끈 주력 산업이 대부분 해외시장에서 성과를 거둔 만큼 중소기업도 해외시장에서 미래 먹거리를 찾아야 할 시기다. 해외시장에서 글로벌 업체와 어깨를 견줄 만 한 기술력을 확보한 중소기업도 있다. 하지만 글로벌 수준으로 기술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여기에 해외마케팅과 네트워킹 구성도 중소업체엔 쉽지 않은 과제다. 이를 압축하면 이 모든 일을 처리할 우수 인재가 필요한 상황이다.
![[해외 인재 스카우팅사업]해외우수인재 SW·SoC 글로벌 시장으로 이끈다](https://img.etnews.com/photonews/1406/578146_20140626172809_523_0001.jpg)
정부가 이 문제를 지원·해결하기 위해 팔 걷고 나섰다. 정부가 자금을 지원해 우수 해외인재를 한국으로 스카우팅 해오는 것이다. 이른바 ‘해외인재 스카우팅사업’이다.
해외인재 스카우팅사업은 정부가 소프트웨어(SW)와 시스템반도체 분야 국내 중소·중견기업, 정부출연연구기관, 전문연구기관, 대학(원)이 맞춤형 고급 해외인재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다.
여타 산업에 비해 SW와 시스템반도체 분야는 고급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분야다. 절대인력이 부족한데다 단기 육성에도 어려움이 있다.
SW분야에서는 초급 4618명, 중급 4970명, 고급 969명의 인력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된다. 시스템온칩(SoC) 분야 인력부족 현상도 심해지고 있다. 오는 2015년 이 분야 석·박사 인력은 1416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이 가시화되면서 기술과 글로벌 역량을 갖춘 핵심 인재가 절실해진 것도 원인이다. 하지만 중소기업이 해외에서 인재를 찾기도 어렵고, 찾는다 하더라도 영입에 성공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수요대상과 공급대상 간 요구사항 차이도 크다. 인력 수요자들은 연봉 1억원 수준의 장기유치를 원하지만 공급될 인력들은 연본 2억원 수준에 단기 계약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해외인재 스카우팅이다. 해외 SW와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연구개발·기술경영 등의 실무경력이 3년 이상인 한인 고급인재를 유치·활용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 공공연구기관, 대학(원)들이 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 중견·중소기업이나 기관이 해외 인재를 영입하면 정부가 관련 비용을 지원한다. 최소 1개월에서 최대 5년까지 해외인재의 인건비와 연구비 등을 지원한다.
중견·중소기업은 연구개발과 기술경영 직군에 따라 1년 미만의 단기유치와 최장 5년간의 장기 유치로 지원한다. 지원규모는 인건비 연간 1억5000만원 이내 왕복항공료와 주택임차료를 제공한다. 장기유치는 여기에 국제이주비와 자녀교육비도 지급한다. 출연연과 전문연구기관, 대학은 모두 장기 유치로만 가능하다.
정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26일 서울 중구 소재 ‘한국의집’에서 해외인재 스카우팅 사업 성과보고회를 개최했다. 보고회는 지난해 해외인재 스카우팅 사업 성과보고와 해외인재 애로사항과 발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박수용 NIPA 원장은 “우리나라 다음 먹거리로 SW와 SoC 등이 거론되지만 실제 경쟁력은 약하다”며 “특히 많은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를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해외에서 온 우수 인력들이 글로벌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중소기업에 큰 역할을 해 줄 것으로 기대 한다”고 덧붙였다.
해외인재 지원내용
△인건비 : 연 1억5000만원 이내
-해외인재가 1년 동안 받는 연봉 총액. 정부가 70% 이하, 기업이 30% 이상 부담
-재외 한인인재는 기관 당 최대 2명까지 정부가 지원함
-인건비에 법정부담금 포함가능
△체재비 : 실비지원
-체재비는 영수증과 계약서 등을 증빙으로 추후 실비정산
-지원기간이 1년 미만은 체재비 일부(왕복항공료, 주택임차료) 지원
-단기유치(1년 미만 고용), 장기유치(1년 이상 고용)
<해외인재스카우팅사업 우수사례>
윤대원기자 yun1972@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