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폭발로 대형 화재를 진화했다?

화재가 발생하면 보통 불을 끌 때에는 물을 이용한다. 하지만 물만으로 불이 꺼지지 않을 때 핵폭발을 이용하는 방법을 쓴 적이 있다.

핵폭발로 대형 화재를 진화했다?

지난 1966년 구 소련 산하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인 부하라에서 80km 떨어진 지점에서 메탄가스 유정 5곳의 가스가 분출, 불꽃이 타올랐다. 당시 신문이 3년 뒤에나 진화될 것이라고 보도했을 만큼 불꽃의 기세가 맹렬했다.

핵폭발로 대형 화재를 진화했다?

당연히 처음에는 물을 이용한 진화에 나섰지만 아무런 효과가 없었다. 화염을 분산하려는 시도도 했지만 기세를 누를 수 없었고 오히려 가스가 파이프 곳곳에서 유출되는 사태를 불러왔다고 한다.

그래서 나온 방법이 핵폭발을 이용해 불을 끄자는 아이디어다. 파이프에서 25∼50m 떨어진 곳 지하 6km 지점에 구멍을 파고 파이프 바로 옆까지 핵폭탄을 가져간다. 당시 사용한 핵폭탄은 30kt급.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한 핵폭탄이 각각 15kt, 22kt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위력적이다.

이런 과정을 거쳐 핵폭탄을 땅속에서 터뜨리자 서서히 불길이 작아지면서 폭발 후 23초 뒤에는 진화에 성공했다고 한다. 지하 파이프라인 근처에서 핵폭발을 일으켜 파이프가 막히게 되고 가스 공급도 정지됐기 때문이다. 물론 폭발 뒤에는 지상에는 큰 구멍이 생겼다. 주위 흙으로 구멍을 메운 다음 진화 작업을 끝냈다고 한다.

이렇게 토목공사나 채굴 같은 작업에 핵폭발을 이용하는 건 평화적 핵폭발이라고 부른다. 지난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구 소련과 미국이 실험을 진행했다고 한다. 이 실험은 미국에서 27회, 소련에서 124번 이뤄졌다고 한다. 소련은 저수지나 지하 구멍 혹은 화재 진화 등에 주로 사용했다. 미국의 경우 실험(사진 위) 외에 제2 파나마 운하 굴착이나 유전 개발 등에 계획을 갖고 있었지만 방사능 오염 문제 탓에 진행은 하지 않았다고 한다.

미국이 진행하려던 실험 중 가장 눈길을 모았던 건 핵폭탄 23발을 이용해 산맥을 폭발시키려는 것이었다. 미국 남서부에 위치한 모하비 사막에는 최대 고도가 1,181m에 달하는 브리스톨 산맥이 있다. 산타모니카와 시카고를 연결하는 66번 국도와 대륙 횡단 철도가 이 산맥을 남쪽으로 크게 우회하는 노선을 따라가야 했다고 한다. 이에 브리스톨 산맥을 핵폭탄으로 폭파하고 새로운 노선을 건설하는 프로젝트인 캐리올 프로젝트(Project Carryall)를 진행하려 했다는 것이다.

이 계획을 세웠던 건 지난 1960년대다. 앞서 설명했듯 50∼60년대는 미국과 소련 양국 모두 다양한 핵실험을 진행했다. 캐리올 프로젝트는 브리스톨 산맥을 관통하는 곧게 뻗은 선로를 깔기 위해 산맥을 통과하는 3.2km 터널 구간과 산맥 지하 150m 위치를 지나는 터널 건설을 포함하고 있었다.

민간 철도사의 이 계획에 관심을 나타낸 건 핵무기의 평화적 사용을 모색하던 미국 원자력위원회였다. 원자력위원회는 핵폭탄 22개 정도로 브리스톨 산맥에 터널을 개통하고 이 과정에서 유출되는 물을 담을 거대한 분화구를 핵폭탄 1발로 만들 계획을 세웠고 핵폭탄 23발 비용은 1,380만 달러로 핵폭탄을 사용하지 않을 때보다 800만 달러가 더 덜 든다고 계산했다.

다만 문제는 안전이었다. 원자력위원회는 기술적으로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핵폭발 후 4일 뒤에 곧바로 작업자가 터널 내에서 작업을 시작한다는 것 자체가 방사능 오염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를 모았다. 결국 이런 기술적 문제 탓에 캐리올 계획은 중단됐다.

전자신문인터넷 테크홀릭팀

이원영IT칼럼니스트 techhol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