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모세 UNIST 교수, 차세대 가속기 개발 토대인 새로운 `빔 물리 이론` 제시

가속기로 핵폐기물 처리와 핵융합 소재 연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차세대 가속기로 불리는 `고강도 가속기` 연구개발의 토대가 될 새로운 `빔(beam) 물리 이론`이 등장했다.

정모세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고강도 가속기 설계와 해석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빔 물리 이론을 완성했다. 정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미국 프린스턴 플라즈마 물리연구소(PPPL), 독일 중이온 가속기 연구소(GSI)와 공동으로 진행됐다.

정모세 교수가 가속 입자의 수평, 수직 결합과 이동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정모세 교수가 가속 입자의 수평, 수직 결합과 이동 현상을 설명하고 있다.

가속기는 전자, 양성자, 이온 등 전하를 가진 입자를 가속해 높은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장치다. 가속 입자들이 이루는 빔을 물질에 부딪쳐 나타나는 현상을 분석하면 핵 구조나 자연계의 물리법칙 등을 밝힐 수 있다.

고강도 가속기는 기존 가속기보다 출력이나 전류 세기를 높인 가속기를 말한다. 이 가속기에서 나오는 강력한 빔을 이용하면 핵폐기물의 반감기를 줄이거나, 핵융합로에 쓰이는 강한 재료를 만들 수 있다.

가속기는 같은 전하를 띠는 입자를 모아 한꺼번에 가속해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다. 이 때 빔 전류를 높이면 입자의 반발력이 커져 전체 빔의 궤적에 영향을 미친다. 이를 `공간 전하 효과`라 부르는데, 1959년 러시아 물리학자 2명이 이를 고려한 물리 이론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이론은 입자가 수평이나 수직 방향으로 결합해 움직이는 현상을 빠트렸다. 이 때문에 새로운 형태의 고강도 가속기를 설계하고 개발하기 어려웠다.

정 교수팀은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운동하는 입자의 결합과 이동까지 고려한 새로운 빔 물리 이론을 완성했다. 정 교수는 “50년간 사용해 온 이론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새로운 이론이다. 핵융합 재료 연구, 핵폐기물 처리, 우주 기원 탐구 등에 활용하는 차세대 고강도 가속기 개발은 물론 기존 가속기 성능 극대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이공학 개인기초연구 지원 사업과 선도연구센터(SRC)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피지컬 리뷰 레터` 11월 25일자에 실렸다.

울산=임동식기자 dsl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