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핵 심판 이후 정국 불확실성 해소에도 미국 관세와 내수 경기 영향에 강달러 현상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은행권은 환율 추이를 살피며 외환손실과 건전성관리 타격 방어에 집중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탄핵 심판 이후에도 한동안 강달러 현상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탄핵 기각 시에는 불안 심리 장기화로, 탄핵 인용 시에도 대외 영향 등으로 인해 환율 안정화에 시간이 걸린다는 분석이다. 올 1분기 평균 환율이 1452.91원으로 IMF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벌어진 환율 격차를 줄일 만큼의 환율 하락은 여전히 미지수다.
환율에는 국내 정치 이슈보다 글로벌 정세 영향이 더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정치 이슈가 단기적·일시적 변동성을 유발하지만, 장기적으로는 트럼프 발 상호관세나 무역 여건 등이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판단이다.
시장에도 이러한 심리가 반영됐다. 3일 서울외환시장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4.4원 오른 1471.0원에 개장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 발표된 지난 1일 오전에는 정국 안정 기대감으로 1466.9원까지 하락했으나, 다시 탄핵 선고 결과와 글로벌 환경과 상호관세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다시 올라 1471.9원에 거래를 마감하며 변동성이 이어지고 있다.
은행권은 환율 추이에 주목하며 리스크 관리에 집중한다. 금융지주 핵심 건전성 지표인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지난해 말 13.07%로, 전 분기 말 대비 0.26%포인트(P) 하락했다. CET1은 위험가중자산(RWA) 대비 보통주자본 비율로, 은행이 예상치 못한 손실이 발생했을 때 이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가늠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금융권에서는 환율이 오를 때마다 금융지주가 보유한 외화자산 원화 환산액이 증가하면서 RWA가 확대, 환율 10원 증가 시 CET1 비율이 0.01~0.03%P 하락할 것으로 추산한다. 역대급 환율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금융당국 최소 권고 비율인 CET1 12%선을 지키기 위해 향후 시장 동향을 면밀히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외환 손실로 인한 쇼크도 방어해야 한다. 지난해 상반기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이미 3864억원 규모 외환거래 누적 손실을 기록하며 강달러 타격을 그대로 받았다. 하반기에도 달러가 고공행진하며 손실이 예상되는 바, 고환율 고착화로 인한 수익성 회복 전략이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다은 기자 dand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