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 판로 확대 나서는 정부…보상 제도 개선은 숙제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출처=게티이미지뱅크

정부가 국내 의료기기 기업의 임상실증과 시장진출 지원을 확대한다. 병원과 연계한 수요 창출로 우수 기술을 개발하고도 의료현장 도입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 애로가 완화될 전망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올해 바이오·헬스, 미래모빌리티, 로봇, 친환경·에너지 등 분야에서 수요기업과 스타트업이 협업해 판로, 투자유치, 세계 진출 등을 모색하는 '초격차 링크업' 프로그램을 신설했다.

이 중 헬스케어·의료기기 분야는 이대목동병원, 국립암센터,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청주 아이엠재활병원과 초격차 스타트업 20곳이 협업한다. 난임, 치매, 암 진단, 재활 등 각 병원이 특화된 분야에서 임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검증 제품 구매 협의 기회를 제공한다.

중기부 관계자는 “소프트웨어(SW) 연동 치료 기술, 영상판독, 암 진단 키트 등 초격차 기업 기술의 병원 임상 적용으로 기업 애로사항이었던 판로 확대를 기대한다”면서 “초격차 스타트업 1000+ 선정 기업을 대상으로 조만간 참여 업체를 모집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2022년 디지털헬스케어 기업 매출 현황(자료=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22년 디지털헬스케어 기업 매출 현황(자료=한국보건산업진흥원)

중기부가 제품 공급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유의미한 매출이 실현돼야 기업이 실질적으로 성장한다는 판단에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헬스케어 정책 지원을 위한 산업실태 고찰' 보고서에 따르면 546개 조사 업체 중 2022년 매출 10억 미만인 회사가 304곳(64.7%)이었다. 매출이 없는 기업 역시 76곳(13.9%)이나 됐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 도입으로 비침습 기기의 의료현장 진입 속도는 단축됐지만, 병원이 기기를 구매해 환자에게 활용하는 것은 또 다른 장벽으로 작용한 셈이다. 디지털헬스케어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요구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의료현장에서 시범 활용·확산 방안 마련과 보상체계(수가·지원금·바우처) 수립이 각각 19.2%, 14.3%를 차지했다. 이에 병원과 임상과 납품까지 이어지는 지원체계를 마련했다.

지난 9일에는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이 루닛, 시지바이오, 뉴냅스, 씨어스테크놀로지 등 의료기기 기업과 간담회를 갖고 연구개발(R&D) 지원 확대와 규제개선을 약속하기도 했다.

디지털헬스산업계는 실증 확산과 함께 보상체계 개선도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대표적으로 의료 인공지능(AI)은 비급여 상한이 정해져 있어, 원가 회수도 쉽지 않다는 것이다.

한 의료 AI 기업 대표는 “병원 입장에서도 보상이 적은데 동의서 작성 등 부담이 많이 발생하니 처방을 꺼리고 있다”면서 “기술 가치를 반영한 수가 정상화로 해외로만 눈을 돌리는 우수 기술이 국내 환자에게도 활용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