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회원가입

  • SW
  • IT
  • 경제
  • 전자
  • 모빌리티
  • 플랫폼/유통
  • 과학
  • 정치
  • 오피니언
검색창 열기 전체 메뉴 닫기
전체 메뉴 열기 전체 메뉴 닫기
  • 뉴스
  • 속보
  • SW
  • IT
  • 경제
  • 전자
  • 모빌리티
  • 플랫폼/유통
  • 과학
  •  
  • 정치
  • 오피니언
  • 국제
  • 전국
  • 스포츠
  • 특집
  • 연재
  • 라이프
  • 연예
  • 포토
  • 공연전시
  • 생활문화
  • 여행/레저
  • 비주얼IT
  • 이슈플러스
  • AI 스튜디오
  • Hot 영상
  • 뷰포인트
  • 인포그래픽
  • 부가서비스
  • Conference
  • allshowTV
  • 시사용어
  • PDF서비스
  • 서비스안내
  • 신문구독신청
  • 콘텐츠구매
  • 초판서비스
  • 회원서비스
  • 내 스크랩
  • 이용안내
  • 지면광고안내
  • 행사문의
  • 통합마케팅 상품 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고충처리
  • 회사소개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 연혁
  • CI소개
  • 회사위치

이슈 플러스

  • LG전자 스마트폰 사업 철수 2021-04-06
    연이은 흥행 부진에 적자 누적… 성장 동력 상실

    LG전자 휴대폰 사업 종료는 예정된 수순이었다. 누적 적자가 5조원에 이르는 상황에서 심혈을 기울인 신제품조차 연이어 흥행에 실패했다. 로봇과 전장 등 미래사업에 역량을 집중시켜야 하는 시점에서 실적 회복을...

    • LG전자 휴대폰 사업 히스토리
    • 국내 삼성전자·애플 독과점 심화... 중저가폰 다양성 우려
    기사 이미지
  • LG전자 스마트폰 사업 철수 2021-04-06
    부품 업계 '리스크 분산'...삼성 독주·中 공세 거세질 듯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에 따라 소재부품 시장 변화도 적지 않을 전망이다. LG전자 스마트폰 사업이 축소되며 소재부품 업계는 그동안 고객사를 다변화하거나 사업 전환을 추진하면서 리스크를 분산해왔다. 하...

    • 요동치던 주가, MC사업 철수 결정 영향은?
    • 노키아·모토로라·팬택 등 역사 속으로
    기사 이미지
  • LG전자 스마트폰 사업 철수 2021-04-06
    LG 스마트폰 빠진 통신시장 전망은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는 이동통신부문 관계사인 LG유플러스를 포함해, 이동통신시장 전반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LG유플러스 입장에서는 관계사로서 신뢰가능한 안정된 단말 공급처를 잃게 됐지만...

    • R&D 인력이 절반..MC사업부 재배치 방향은
    • 가전 인프라 활용해 AS 지속 보장
    기사 이미지
  • 코로나에도 VC 고공비행 2021-04-05
    주요 벤처캐피털 대다수 '사상최대 실적'.

    코로나19 확산에도 벤처투자업계가 투자규모를 꾸준히 키우고 있다. 정부의 벤처투자 확대 기조에다 증시 호황으로 회수시장이 활기를 띠면서 지난해 신규 벤처투자액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주요 벤처캐피털(VC...

    • 벤처투자시장 커졌지만, 인프라는 반쪽
    • 실리콘밸리식 복합금융으로 투자방식 다각화
    기사 이미지
  • 금융권 'ESG 경영' 훈풍 2021-04-02
    ESG 체계 완비한 5대 금융지주, ESG 투자 속도

    국내 금융권이 탈석탄 금융을 선언한데 이어 전 계열사에 걸친 금융지주 차원 ESG(경영·사회·지배구조) 경영구조를 완비했다. 석탄 화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신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중단과 관련 채권 발행 중...

    • "세계 ESG 투자 증가세...국내 금융권 전반 대응력 높여야"
    기사 이미지
  • 5G 상용화 2년…성과와 과제 2021-04-02
    5G 상용화 2주년···완벽한 5G 향한 노력 지속

    우리나라가 2019년 4월 3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가 2주년을 맞는다. 5G는 소비자(B2C) 시장에서 2년 만에 가입자 1300만명을 상회하는 등 저변을 확대하며 확실한 대중 서비스로 자리잡...

    • 28GHz, 5G SA 등 신기술 진화 본격화
    기사 이미지
  • '반도체 품귀' 韓 제조업 위협 2021-04-01
    한국 제조업 위협하는 반도체 품귀 "웃돈 줘도 못 구해"

    반도체 품귀 현상이 심각해지면서 국내 가전·자동차·PC 등 산업 전반이 비상이다. 단순한 전기밥솥 하나에도 전력 제어와 열 조절 부품 등 다수의 반도체가 탑재된다. 사실상 모든 전자 제품이 반도체 품귀 사태...

    • 반도체 품귀, 하반기까지 지속될 듯...업계 대책 마련에 고심
    기사 이미지
  • 4·7 서울·부산시장 재보선 공방 2021-03-30
    4·7 재보선 공방-투기의혹에 文-MB 아바타까지 거세지는 선거 공방

    4월 7일 재·보궐선거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후보자들 유세전도 상대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 마타도어 막말 공세로 치닫고 있다. 부동산 정책 혼란 와중에 LH 투기 사태까지 터지면서 이번 선거전은 후보...

    • 4·7 재보선 공방-서울·부산시장 후보 이색 공약
    • 4·7 재보선 공방-부산시장도 결국 부동산 공방
    기사 이미지
  • 가전사업 진출 '러시' 2021-03-30
    이종업체, 가전 사업 진출 '러시'

    이종업체의 가전 사업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가전이 기존 사업 성장 한계 돌파구 역할은 물론 수익성 개선에도 유리하다는 판단이다. 소형가전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지만 시장 성장 속도가 빨라 많은 업체가 관심...

    • "녹즙 회사도 안마의자 내놓는다"...라이프스타일 기업 도약 위해 '가전' 픽한 기업들
    기사 이미지
  • 떠오르는 디지털 치료제, 현주소와 과제 2021-03-29
    떠오르는 '디지털 치료제'···상용화 과제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2017년 약물중독 치료를 위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리셋(reSET)을 허가한 이후 북미와 유럽을 중심으로 디지털 치료제(DTx:Digital Therapeutics)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

    • 한덕현 중앙대병원 교수 "디지털 치료제 처방 관련 논의 시작해야"
    • 기능성 게임에서 DTx로
    기사 이미지
  •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4개월 성과 2021-03-26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 4개월 성적표

    지난해 12월 1일 서비스를 시작한 경기도공공배달애플리케이션(앱) 배달특급이 4개월을 앞두고 있다. 민간 배달앱의 과도한 수수료에 대응해 시범서비스 지역으로 화성과 오산, 파주에서 중개수수료 1%를 내세우며...

    • 배달앱 협의회 발족 등 외연확장 나섰다
    • 소상공인이 말하는 경기도 '배달특급'은
    기사 이미지
  • 인텔 'IDM 2.0 전략' 의미는 2021-03-25
    '반도체 자립'…미국발 세계대전 시작됐다

    # 인텔이 200억달러(약 22조6000억원)를 들여 미국에 파운드리 사업의 중심이 될 신규 팹 2개를 구축한다. 그동안 자사의 중앙처리장치(CPU) 생산 공장 위주로 운영하던 인텔이 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을 결정한 것은...

    • 인텔, 파운드리 시장 진출…폭풍일까 미풍일까
    • 인텔 "CPU 외주는 계속"
    기사 이미지
  • 전기차 배터리 대전환 시대…'K-배터리' 위기 2021-03-24
    전기차 배터리 대전환 시대...'중국에 밀린 K-배터리'

    우리나라 전기차 배터리 산업은 이미 위기에 처했다. 최근 2~3년전부터 우리나라 제품이 시장점유율 1위 자리에 오르면서 K-배터리라는 별칭까지 붙었지만, 지금의 국산 배터리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전기차...

    • 전기차 배터리로 왜 각형을 주목하는가?
    기사 이미지
  • 삼성 '갤럭시Z 폴드3' 주목할 기술 변화 2021-03-23
    삼성 '갤럭시Z 폴드3'에서 주목할 기술 변화

    # 삼성전자는 세계 스마트폰 업계에서 폴더블 스마트폰을 유일하게 양산 중인 기업이다. 화웨이, 모토로라, 로욜 등에서도 폴더블폰이 출시된 바 있지만, 개발 및 생산 능력에서 삼성과 상당한 차이가 난다. 복수 모...

    기사 이미지
  • 지자체 자가망 쟁점과 과제 2021-03-22
    “지자체 자가망, 경제성·합법성 먼저 따져야"

    서울과 부산, 대구 등 지방자치단체가 자가통신설비(자가망)를 이용한 공공와이파이 등 대민서비스를 확대하면서 지자체와 통신사, 중앙부처간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 현행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르면 자가망은 특정한...

    • "지자체 자가망 사용, 사회적논의부터 시작해야"
    기사 이미지
❮이전 페이지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페이지
  • 뉴스
  • 속보
  • SW
  • IT
  • 경제
  • 전자
  • 모빌리티
  • 플랫폼/유통
  • 과학
  •  
  • 정치
  • 오피니언
  • 국제
  • 전국
  • 스포츠
  • 특집
  • 연재
  • 라이프
  • 연예
  • 포토
  • 공연전시
  • 생활문화
  • 여행/레저
  • 비주얼IT
  • 이슈플러스
  • AI 스튜디오
  • Hot 영상
  • 뷰포인트
  • 인포그래픽
  • 부가서비스
  • Conference
  • allshowTV
  • 시사용어
  • PDF서비스
  • 서비스안내
  • 신문구독신청
  • 콘텐츠구매
  • 초판서비스
  • 회원서비스
  • 내 스크랩
  • 이용안내
  • 지면광고안내
  • 행사문의
  • 통합마케팅 상품 안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고충처리
  • 회사소개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 연혁
  • CI소개
  • 회사위치
지면광고안내 행사문의 통합마케팅 상품 안내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고충처리 사이트맵
전자신문 회사소개
주소 :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호반파크1관 대표번호 : 02-2168-9200 등록번호 : 서울 아04494 등록일자 : 2017년 04월 27일

사업자명 : 전자신문인터넷 사업자번호 : 107-81-80959 발행·편집인: 심규호 청소년보호책임자: 김태권

Copyright © Electronic Times Inter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