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대표 정재훈)는 지난 24일 서울 본사에서 '컴플라이언스 데이(Compliance Day)'를 열고, 공정거래 자율준수 실천 의지를 다졌다. 행사에는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해 자율준수관리자, 주요 부서 팀장 등 임직원들이 참석했다. '컴플라이언스 데이'는 C
-
KCC, '컴플라이언스 데이' 행사 열어 전 임직원 공정거래 자율준수 실천강화 다짐2025-06-25 13:24
-
엘앤에프, 사무 업무에 AI 챗봇 '루시드' 도입
엘앤에프는 사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체 개발한 인공지능(AI) 챗봇 '루시드'를 업무에 도입한다고 25일 밝혔다. 루시드는 사내 데이터를 학습해 임직원에게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는 챗봇이다. 회사는 루시드가 정보 검색 시간을 줄여 업무 집중도를 높일 것으로 전망했다.
2025-06-25 10:16 -
LS전선·LS마린솔루션, MS·아마존 주도 '한일 해저통신망' 사업 참여
LS전선과 LS마린솔루션은 '한일 해저통신망 구축 프로젝트(JAKO)'에 참여한다고 25일 밝혔다. JAKO 프로젝트는 마이크로소프트(MS), 아마존웹서비스(AWS), 한국 드림라인, 일본 아르테리아 네트웍스 등 글로벌 테크 기업과 통신사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추진하는
2025-06-25 10:09 -
유일로보틱스, 본사 청라 이전…“대량생산 체계 구축”
유일로보틱스는 본사를 인천 남동공단에서 서구 청라국제도시 첨단산업단지로 이전한다고 25일 밝혔다. 회사는 인천 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청라 사옥 사용 승인을 받아 본사 이전 절차가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신규 본사는 대지 8000평 규모로, 지난해 2월 건설 시작 이후 올
2025-06-25 09:32 -
6인치 SiC 웨이퍼 2년 새 '1500→400달러'…중국發 시장 재편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전력반도체의 핵심 소재인 탄화규소(SiC: 실리콘카바이드) 웨이퍼 가격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글로벌 1위 기업조차 파산 위기에 내몰리는 등 SiC 웨이퍼 업계가 재편에 들어갔다. 시장조사업체 테크인사이츠 등에 따르면 6인치 SiC 웨
2025-06-25 07:30 -
삼성D 리지드 OLED 식각 공급망 변동…솔브레인 철수
삼성디스플레이의 리지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식각 공급망이 재편된다. 솔브레인이 철수하고, 중국 업체가 신규 진입한다. 24일 취재를 종합하면 솔브레인은 씬글래스(TG)라고 부르는 리지드 OLED 식각 사업을 이달까지 운영한 뒤 철수한다. 솔브레인은 삼성디스플레이
2025-06-24 16:30 -
김현 서울과기대 교수, IEIE-IEEE '젊은 과학기술인상' 수상
대한전자공학회(IEIE)는 김현 서울과학기술대 전기정보공학과 교수가 '젊은 과학기술인상' 수상자에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젊은 과학기술인상은 IEIE와 국제전기전자학회(IEEE)가 공동 주관하고, 해동과학문화재단이 후원하는 시상식이다. 기술적 실용성이 높은 연구 성
2025-06-24 15:00 -
현대차, 파우치형 배터리부터 만든다…자체 라인 설비 확정
현대자동차가 2027년부터 자체 배터리 생산에 나선다. 배터리 제조 설비를 최종 선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차는 과자 봉지 같은 알루미늄 필름 안에 양극과 음극을 구현한 파우치 배터리부터 양산에 돌입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경기도 안성 모빌리티알파라인안성
2025-06-24 14:11 -
바스프 “요소분해억제제 온실가스 감축효과 입증”
바스프가 자사 요소분해억제제 '리무스'를 적용한 요소비료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보였다고 24일 밝혔다. 회사는 중국 비료 제조업체 윈난 윈텐화와 2023년 중국에서 공동으로 관련 시범사업을 진행한 결과 미적용 재료 대비 4만6584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했다고
2025-06-24 10:26 -
SK하이닉스, 청주에 국내 7번째 후공정 팹 건설
SK하이닉스가 충북 청주에 국내 7번째 반도체 후공정 공장(팹)을 건설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최근 사내 게시판에 청주 LG 2공장 부지에 위치한 건물을 철거하고, '패키지&테스트(P&T) 7' 시설을 지을 계획이라고 공지했다. 반도체 후공정은 제작이
2025-06-24 10:13 -
코아시아세미-리벨리온, PIM 반도체 개발 추진
코아시아세미는 리벨리온과 멀티페타플롭스급 프로세싱 인 메모리(PIM) 서버 반도체 개발 국책과제를 수행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과제는 'PIM 인공지능반도체 핵심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주관한다. 총 86억원 규모며, 수행 기간은 지
2025-06-24 10:04 -
알티움 품은 르네사스 “AI 기반 독자 EDA 툴 출시”
일본 르네사스가 내년 초 독자적인 인공지능(AI) 기반 반도체 설계자동화(EDA) 툴을 선보인다. 지난해 인수한 호주 EDA 기업 알티움과 공동 개발한 결과물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르네사스는 최근 AI 기반 클라우드 EDA 툴 '르네사스 365'를 개발했다. 현
2025-06-23 16:30 -
엠플러스, 전고체 배터리 프레스 장비 개발 속도…“WIP 대체 노린다”
엠플러스가 전고체 배터리 핵심 장비 시장 선점에 나선다. 전고체 배터리 조립장비에 이어 프레스 방식으로 생산성을 높인 초고압 공정 장비 개발에도 뛰어들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엠플러스는 전고체 배터리 생산에 필수인 '초고압 핫프레스 머신'과 '다단 롤 프레스 머신'
2025-06-23 15:00 -
주목할 디스플레이 기술은…“고이동도 산화물 TFT”
저전력과 고성능을 모두 잡을 수 있는 고이동도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TFT)가 차세대 디스플레이 구동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김현재 연세대 교수는 23일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주최로 열린 'SID 심화 리뷰 워크숍'에서 “올해 SID에서는 저온다결정실리콘(LTPS) 트
2025-06-23 14:00 -
中 무차별 배터리 공세에 韓 텃밭까지 흔들
# 배터리 장비사인 A사는 최근 중국 부품 업체에서 제안이 쏟아져 놀랐다. 장비에 들어가는 부품이나 모듈을 공급해 줄 수 있다면서 하루 10통 이상 제안서가 도착해서다. # 배터리 팩을 제조하는 B사는 중국 배터리 제조사로부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셀을 파격 할인
2025-06-23 1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