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유상증자기업 `투자 조심`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2005 코스닥 관리종목기업 유상증자 공시 현황

올 들어 코스닥 상승세에 힘입어 유상증자 시도가 잇따르고 있지만 이 가운데 상당수 기업은 부실 가능성이 높은 관리종목 지정기업으로 확인되면서 투자경보가 내려졌다.

6일 증시 전문가들에 따르면 올들어 2월4일 현재 유상증자 공시 기업 41개사 가운데 30%이상이 부실관리기업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최근 벤처 활성화 분위기 및 코스닥 열풍을 타고 묻지마 식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9개였던 코스닥기업의 유상증자 공시는 올들어 2월4일까지 한달여 새 41개사로 크게 늘어났고 최근 벤처 활성화 분위기를 타고 더욱더 늘어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부실기업의 유상증자에 대해 “성공 가능성이 불투명하고 투기세력의 ‘작전’ 대상이 될 가능성 등이 높은 만큼 반드시 회사 재무구조 및 실적 추이를 확인하고 투자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유상증자 급증세=지난해 장외 시장을 통한 회사채 발행에 주력했던 코스닥기업들의 유상증자 사례가 최근의 코스닥 열풍을 타고 급속히 늘고 있다. 한달새 유상증자 공시기업수가 지난해말28개에 불과했으나 올들어 지난 4일까지 41개사를 기록했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주식 수를 늘리는 것으로 △설비투자 재원 △운전자금 등 장기간 필요로 하는 자금을 조달하기 위한 방법이다. 유상증자는 기업이 사업을 확대하거나 불안정한 재무구조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며 투자자 입장에서도 증자 참여 이후 주가가 오르면 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녔다.

◇부실 증자 우려=하지만 올 들어 지난 4일까지 유상증자 계획을 공시한 41개 기업 중 3분의 1 이상인 15개 기업은 경상손실·시가총액 미달 등의 이유로 관리 종목으로 지정된 곳이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부실 기업의 증자는 △증자 이후 사업 정상화 여부가 불투명하고 △투기세력의 작전 대상이 될 수 있어 그간 부작용이 적지 않았다.

지난달 코스닥에서 퇴출당한 현대멀티캡은 지난해 3월 제3자 배정방식 유상증자를 실시했으나 당시 증자에 참여했던 (주)하니엘 대표이사가 ‘가장납입’이라는 편법을 사용한 것이 밝혀져 관계자가 기소되기도 했다. 지난달에는 또 다른 코스닥기업 A사 임원들이 유상증자 대금 횡령혐의로 검찰에 고발돼 수사가 진행중이다.

◇철저한 확인 필요=동전의 양면처럼 장단점이 존재하는 만큼 유상증자 참여시 충분한 사전 검토가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일관된 목소리다.

투자컨설팅사 BIBR의 신동준 이사는 “유상증자는 기업이 운전자금을 조달해 실적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순기능과 함께 부실기업의 허술한 경영체계를 이용한 투기세력의 불법적인 행위가 일어날 수 있는 역기능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증자 이후 고수익을 실현할 수 있다는 부분에 현혹되지 말고 △기업 실적 및 사업계획 △제3자 배정시 인수주체의 투자 목적 등을 확인할 것을 주문했다

이호준기자@전자신문, new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