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단지 내 클라우드 도입 "초읽기 들어갔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국내 클라우드 시장 추이

국내 클라우드 서비스 전환·도입 활성화를 위해 지역 산업단지에 클라우드 도입을 지원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클라우드 발전법이 통과돼 법적 기반이 마련되면 사업에 탄력에 붙겠지만 그 전에라도 산업 단지 내 중견·중소기업이 정보기술(IT) 인프라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19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업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클라우드 서비스의 민간 도입 확산을 위해 산업단지 기업에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지원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정부는 조선·건설 등과 스마트카·교육 등 융합 산업 분야에 클라우드를 적용해 대기업과 중견·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올해 4개 산업단지에 클라우드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산업단지에 클라우드 서비스가 활성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마련한 예산은 올해만 20억원 규모다. 미래부는 클라우드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추가예산 확보와 추가 지원 사업을 발굴할 예정이다. 범정부 차원으로 산업단지 클라우드 도입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협력 체계도 강화한다. 산업부가 추진 중인 스마트팩토리 등 사업과 클라우드 서비스가 연계되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산업단지 클라우드 도입을 위해 ‘클라우드 발전법’ 등 제도적 뒷받침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산업단지에 속한 기업의 연구개발(R&D) 지원, 인력 양성, 이용자 보호를 위한 보안체계 마련이 법적 근거를 확보하려면 클라우드 발전법 통과와 함께 세부 시행령이 마련돼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산업단지에 클라우드가 적극 도입되게 하려면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공급자)와 도입 기업(수요자)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발전법 통과가 급선무”라고 강조했다.

미래부는 클라우드 서비스 활성화 차원에서 공공기관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유도 외에 클라우드 발전법 통과 이전이라도 산업단지 클라우드 클러스터 조성 작업에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글로벌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해 IT 운영비용 절감 및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있어 국내에서도 더 이상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늦출 수 없다는 생각에서다.

미래부 관계자는 “산업단지 내 기업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해 업무효율성이 입증되면 민간에서도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활용 우수사례가 속속 나올 것”으로 기대하며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을 위한 기반 마련에 힘을 쏟을 것”이라고 밝혔다.

<[표]국내 클라우드 시장 성장 현황 / 자료:미래창조과학부>


[표]국내 클라우드 시장 성장 현황 / 자료:미래창조과학부


권동준기자 djkw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