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창의 인재 못키우면 AI 주도 어렵다

네이버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 대열에 뛰어들었다. 네이버는 24일 개발자회의 `데뷰(DEVIEW) 2016`에서 음성 인식 대화시스템 `아미카(AMICA)`, 로보틱스·자율주행 시스템, 자체 웹브라우저 `웨일` 등을 소개했다. 모두가 AI 기반 기술이다.

네이버는 AI 기반 기술 개발 강화에 집중하고 국내외 우수 인재 영입에도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이해진 이사회 의장은 “좋은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협업하는 기회를 적극 늘려 나가겠다”고 밝혔다.

AI는 올해 초 개최된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의 화두인 4차 산업혁명이 문을 열었다. 지난 3월 이세돌 9단과 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의 대결로 우리 일상으로 들어왔다. `AI 열풍`은 여전히 식을 줄 모른다. AI가 더 이상 먼 미래가 아님을 실감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기업 간 경쟁은 `보이지 않는 총성`과 다름없다. 삼성과 LG는 AI를 미래 전략 사업으로 정했다. 아직 눈에 띄는 성과는 없지만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개발과 투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알파고`로 세계를 놀라게 한 구글은 잇따른 기업 인수와 인재 영입으로 AI 분야에서 한발 앞서 있다. 애플은 관련 스타트업을 1년 사이에 6개나 인수했다.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 기업들도 미국 대학과 공동 연구를 진행, 시장 선점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지금 우리나라에서 AI는 대기업과 금융 공기업 등의 입사시험에 등장할 정도다. 그렇지만 우리 기업들의 투자 규모나 기술 수준은 아직 구글 등 해외 기업에 뒤진다. 전문 연구소라고 할 수 있는 `지능정보기술연구원`이 이달 출범했지만 아직은 걸음마 수준이다.

기술 수준은 정부의 전폭 지원과 기업의 대규모 투자로 따라잡을 수 있다. 그렇지만 AI 인재 확보는 `벼락치기`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암기력 대신 창의력으로 무장된 AI 인재를 키우는 교육 시스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아무리 AI 열풍에 마음이 급해도 창의형 인재가 없다면 AI 주도권은 언감생심이다. 창의형 인재를 기르는 교육 정책과 제도를 만들어 가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