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랜섬웨어 최대 피해국 전락?

러시아가 랜섬웨어 기습 때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러시아는 힐러리 클린턴 전 대선후보·에마뉘엘 마크롱 캠프 이메일 해킹 의혹으로 지목된 국가여서 이례적이다.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러시아가 이번 '워너크라이(WannaCry)' 랜섬웨어 가장 큰 피해국이라고 14일(현지시간) 전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러시아 사이버 보안업체 카스퍼스키랩은 워너크라이가 지난 12일 세계 150개국을 동시다발적으로 공격할 때 러시아가 속수무책으로 당했다고 지적했다.

이번 공격으로 러시아에서는 정부 컴퓨터가 충돌을 일으켰다. 은행·통신사·철도업체 등은 공격 피해를 차단하기 위해 자체 시스템을 폐쇄했다. 정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

러시아 내무부는 내무부 컴퓨터 약 1000대가 감염돼 네트워크에서 격리했다. 행정부 주요 서버는 감염되지 않았다. 내무부 대변인은 상당수 컴퓨터는 구소련 시절 개발된 엘브루스를 포함해 토종 운용체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는 러시아가 해킹으로 큰 피해를 입은 것을 두고, 이번 해킹이 러시아에서 이뤄진 것이 아닐 것이라는 분석에 무게를 둔다.

보안업계 관계자는 “러시아가 해킹으로 큰 피해를 입었기 때문에 러시아에서 해킹을 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며 “자국에서 해킹 시도는 금방 추적 당하기 때문에, 시도하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워너크라이 해킹을 특정 국가 기관에서 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고르 아시마노프 러시아 디지털경제위원회 위원은 “특정 국가 사이버공격군이 이런 바보 같은 짓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변상근기자 sgby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