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도입 드론 100% '중국산 DJI'...드론 육성책 공공기관도 외면

공단 "국산 수천만원대...도입 어려워"

DJI 접이식 드론 매빅 프로<전자신문DB>
DJI 접이식 드론 매빅 프로<전자신문DB>

국립공원관리공단 업무용 드론 100%가 중국 DJI 제품인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드론 산업 육성을 외치지만 정작 공공기관은 국산 드론을 외면하고 있는 셈이었다. 정부가 올해 2월 드론을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했음에도 공공기관이 외국 대기업 제품을 일부 구매한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예상된다.

13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공개한 '2018 보험 가입 대상 국립공원 무인기(드론) 현황'에 따르면 공단이 보유한 무인기 62대 모두 중국 DJI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에서 쓰는 측량 전문 외산 드론 3대를 제외하면 실제 현장에서 운용하는 드론 모두 중국산이 차지했다. 공단은 드론을 순찰·단속, 조난자 수색, 산불 감시, 식생·자원 모니터링, 경관 촬영 등 다양한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정부는 공공 수요로 국내 드론 사업을 견인하기 위해 올해 2월부터 드론을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으로 지정했다. 공공기관이 업무에 드론을 활용하려면 국내 중소기업 제품을 활용해야 한다. 대기업과 해외 기업 제품은 제한된다.

그러나 국립공원관리공단이 보유한 DJI 드론 가운데 21대는 올해 신규로 구매했다. 공고를 낸 7월 말 기준으로 구매를 진행하고 있는 6대가 포함된 수치다.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으로 지정됐지만 해외 기업 제품을 버젓이 구매한 셈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에 대해 “중국산 드론 구매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 연동, 접는 기능 등 국산 드론이 제공하지 않는 기능이 필요해 실시했다”면서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예외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드론 업계에서는 정부 드론 산업 육성 공언이 무색해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립공원관리공단뿐만 아니라 다른 관공서와 공공기관에서도 중국산 드론 활용도가 매우 높다. 한국드론산업진흥회가 집계한 '공공용 무인항공기 수요 현황'에 따르면 공공기관이 보유한 드론 모델 78종 가운데 중국에서 개발된 드론이 44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중국산 드론은 전체 보유 모델 가운데 56.4%를 차지했다. 국산은 15종에 불과했다. 조사는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1월까지 공공기관, 광역지방자치단체 등 총 77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공공기관은 이에 대해 부족한 예산 때문에 저렴한 중국산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실제로 올해 국립공원관리공단 드론 구매 예산은 2억원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국립공원관리공단은 가성비가 뛰어난 DJI 드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업무에 활용될 정도로 성능을 갖춘 드론을 사려면 DJI 제품은 대당 200만~500만원, 국산 드론은 수천만원이 든다는 것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관계자는 “2월 이후 대량 입찰 공고로 중국산 드론을 구매하지 않았다. 긴급하게 필요한 수요가 있어 개별 사무소에서 조달한 것”이라면서 “예산 2억원 가운데 보험비와 교육훈련예산을 빼면 5000만원으로 드론을 구매해야 하는데 필요한 성능을 갖추려면 국산 드론은 수천만원짜리를 사야 돼 구매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오대석기자 od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