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스튜디오지니, 최소 4000억원 투자…상생·개방형 생태계 조성

2023년까지 IP 1000개 이상
오리지널 콘텐츠 100개 확보
KT스튜디오지니 밸류체인 구성
위드 KT 구축...개방-공유-육성

KT가 23일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미디어 콘텐츠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왼쪽부터 강국현 KT 사장, 구현모 KT 대표, 김철연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 윤용필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
KT가 23일 서울 광화문 KT스퀘어에서 미디어 콘텐츠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왼쪽부터 강국현 KT 사장, 구현모 KT 대표, 김철연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 윤용필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

KT 미디어·콘텐츠 사업은 KT그룹 역량을 총동원하고 국내 최대 콘텐츠 투자를 바탕으로 이뤄진다. KT 성장뿐만 아니라 개방형 생태계 구축으로 상생을 실천하고 궁극적으로 'K-콘텐츠' 글로벌 위상도 제고한다는 복안이다.

KT 미디어·콘텐츠 사업 핵심은 콘텐츠 제작 전문법인 'KT스튜디오지니'로 2023년까지 3년간 최소 4000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지식재산(IP) 1000개 이상, 오리지널 드라마 콘텐츠 100개 이상 확보를 목표로 한다.

KT는 투자 이후 이익이 발생할 때까지 기간이 걸리는 사업임을 고려, 콘텐츠 경쟁력이 확보되고 수익을 실현할 때까지 지속 투자할 방침이다.

KT는 콘텐츠 제작·투자·유통을 총괄하는 KT스튜디오지니를 중심으로 원천 IP(스토리위즈)부터 콘텐츠 제작(스카이TV)·유통(KTH)·방송(올레 tv·스카이라이프·시즌)까지 미디어·콘텐츠 밸류체인 구성과 투자 회수구조를 확보했다.

강국현 KT 커스터머부문장(사장)은 “KT는 2023년까지 대형 타이틀을 100개 이상 제작하는 게 목표”라며 “KT스튜디오지니 기업 가치를 현재 대비 4~5배 이상인 1조원으로 만들어 플랫폼과 동반성장, 유료방송·콘텐츠 종합미디어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

강 부문장은 KT가 미디어·콘텐츠 사업을 잘할 수 있는 세 가지 이유로 △KT그룹 콘텐츠 투자에 대한 회수가 가능한 '리쿱구조' △콘텐츠 흥행 예측이 가능한 빅데이터와 분석기술 △K-콘텐츠 한류 등 콘텐츠 시장 지속 상황 등을 손꼽았다.

KT는 빅데이터 분석 역량으로 흥행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에 집중 투자하고 KT스튜디오지니를 중심으로 국내 제작사와 상생하는 '위드(With) KT' 생태계를 창출한다.

강국현 KT 커스터머부문장(사장)
강국현 KT 커스터머부문장(사장)

기존 IPTV·위성방송·방송채널사용사업(PP) 등으로 20년간 축적한 빅데이터에 기반한 콘텐츠 성공 예측모델을 활용한다. 예측모델은 콘텐츠 흥행 여부에 따라 10등급으로 세분화해 흥행 여부를 판단한다. 실제 지난해 방영된 tvN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과 '더킹:영원의 군주' 등에 대한 흥행 성적을 정확히 예측했다.

KT스튜디오지니는 빅데이터 예측모델을 토대로 50억원부터 5000억원 규모 대작까지 흥행 가능성이 높은 콘텐츠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김철연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
김철연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

KT는 개방·공유·육성을 핵심 키워드로 개방형 생태계 '위드 KT'를 구축할 계획이다. 디즈니플러스 등 다른 플랫폼 사업자와 공동 투자 등 협력은 물론, KTH를 통해 오리지널 콘텐츠 판권을 국내외 플랫폼과 공유할 방침이다.

김철연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는 “스토리위즈가 가진 원천 IP를 파트너에 전면 개방해 콘텐츠가 조기에 재생산될 수 있는 구조를 생성. 다양한 제작사와 협력모델을 만들고 처음부터 수익을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용필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
윤용필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

윤용필 KT스튜디오지니 공동대표는 “KT스튜디오지니 주도로 핵심 대작 '텐트폴' 콘텐츠를 제작하는 등 다양한 콘텐츠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trut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