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계가 한정애 환경부 장관과 만나 탄소중립 대응에 어려움을 호소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2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에서 한정애 장관과 간담회를 갖고 탄소중립 및 정부 환경정책 관련 중소기업 현안 과제 6건을 전달했다.
중소기업계는 탄소중립 도입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정책 추진 속도가 워낙 빠르고, 중소기업 자체 대응이 어렵다며 중소기업이 탄소중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촘촘한 지원정책을 요청했다. 환경관리통합시스템 도입, 탄소중립 가능한 소성로 및 CCU 산업단지 조성 지원 ,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용한 탄소중립 지원 사업 마련, 이산화탄소 포집물의 건설자재 활용을 위한 법령 개정 등을 건의했다.
김기문 중기중앙회장은 “탈탄소 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환경보호와 산업육성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면서 “탄소중립과 밀접한 석회석, 유리 등 업종별 협동조합 중심으로 친환경 연료전환, 탄소저감시설 등의 정책 수요를 발굴하고 있는 만큼 환경부에서도 중소기업 지원에 충분한 예산을 확보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정애 장관은 이에 “탄소중립이 우리 중소기업에게 있어 매우 도전적인 과제이지만, 이를 신성장 동력과 일자리 창출의 기회로 만들기 위해 정부도 함께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이날 중기중앙회는 중소기업연구원과 함께 중소기업의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토론회를 열고 자구 방안을 모색하기도 했다. 중소기업계에서는 업종별 협동조합을 통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소기업 전용 전기요금제 도입 필요성도 제기됐다. 중기중앙회는 토론회를 비롯해 업계 의견 수렴을 거쳐 올해 중으로 중소기업계 요구 사항을 정부에 제출할 계획이다.

유근일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