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윤리교육 체계적 추진위해 공동 협의회 만든다

20일 한국정보처리학회 인터넷윤리진흥본부가 개최한 전문가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인터넷 윤리 교육의 현황과 정착 방안에 대해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20일 한국정보처리학회 인터넷윤리진흥본부가 개최한 전문가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인터넷 윤리 교육의 현황과 정착 방안에 대해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인터넷윤리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방법론 연구 및 법·제도 건의 등을 위해 민·관·학이 참여하는 공동 협의회가 결성될 전망이다.

한국정보처리학회 인터넷윤리진흥본부(위원장 정진욱)가 20일 서초구 서초동 정보통신윤리위원회에서 개최한 ‘제 1차 인터넷윤리 전문가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초·중·고등학생은 물론 교사·학부모에 대한 정보통신 윤리 교육의 체계적 추진을 위해 ‘(가칭)인터넷윤리교육협의회’구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날 좌담회에 참가한 정보통신윤리위·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874)·한국정보처리학회 관계자들은 최근 대국민 인터넷 윤리교육과 관련한 교재 개발·연구·교육 등이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정보 공유 및 정책 논의를 위한 단일 창구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정진욱 인터넷윤리진흥본부 본부장(성균관대 교수)은 “보다 효과적인 인터넷 윤리 교육 체계를 만들어야 할 시점”이라며 “협의회를 통해 수렴된 각계 각층의 의견을 교육부·정통부 등 부처에도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시했다.

 한태명 KERIS 교육정보화실장은 “학교와 정부 차원에서 윤리 교육을 수년 째 진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IT 강국의 수준에 걸맞지 않는 것은 조직화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김민선 학부모정보감시단 사무국장은 “통합적인 윤리 교육 체계를 구축해 운영해야 한다”며 “협의회 등을 통해 교육과정 및 방법론 등을 효과적으로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정책과 박종은 연구사도 “정보통신윤리가 사회적인 문제로 부각되면서 이를 교과 과정에 얼마나 반영할 것인가를 고민 중”이라며 “각계 각층을 통해 사례 중심의 정보들을 모을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경기자@전자신문, yu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