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기획-u인프라]광대역통합망(BcN)-u시대 멀티미디어 세상 실현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광대역통합망(BcN) 개념도

 광대역통합망(BcN)사업은 초고속인터넷사업 이후 신규 수요 창출이 필요하다는 데서 출발했다. 물론 이런 요구는 ‘정보통신 강국 코리아’의 위상을 계속 이어나가기 위한 전략이기도 하다.

 1990년대 들어 정보통신이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등장하자 미국·일본 등 주요 선진국은 21세기 지식정보사회의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을 국가 전략사업으로 인식해 추진했다. 우리 정부도 1995년부터 2005년까지 3단계에 걸쳐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을 완성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정보통신 1등 국가로 자리 매김했다.

 문제는 전 국민이 초고속인터넷과 이동통신을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면서 시장이 차츰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 것.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업에는 기존의 수익구조를 다변화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또 일반전화망(PSTN)·인터넷망·무선망 등 기존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개별 망의 운용 유지 및 교체 등의 부담 가중으로 통합망에 대한 요구도 증대됐다.

 BcN 구축사업은 초고속정보통신망 구축사업 이후 미래 차세대 네트워크 구축 시 대규모 투자에 따른 사업자의 위험 부담을 경감하고 초고속인터넷 등 포화 상태에 이른 시장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추진하게 됐다.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사회진흥원이 지난 2004년부터 추진했다. 2005년까지 1단계를 거쳐 사업 기반을 다졌으며 올해까지 2단계로 본격 구축 단계에 이르렀다.

 3단계 구축사업을 완성할 2010년엔 유비쿼터스 시대의 BcN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끊김 없이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더불어 광대역 기반의 융·복합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유무선사업자 망 간에 상호 연동성을 강화하고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한 이동성 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신혜선기자@전자신문, shin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