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권 `초광역 경제중심지` 육성

남해안권 `초광역 경제중심지` 육성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남해안 발전 기본 구상도

 부산과 경남, 전남의 해안을 잇는 남해안권에 항공·우주, 로봇 등 특화산업벨트와 기존 기계, 조선산업 등을 융복합 연계한 신산업벨트가 조성된다.

 경남도는 11일 경남도청에서 ‘남해안권발전종합계획’ 보고회를 열고, 오는 2020년까지 ‘동북아 글로벌 복합경제 중심지’라는 미래 비전과 이를 달성하기 위한 △동북아 5위 경제권 진입 △제2의 수도권 형성 △2시간대 통합경제권 구축을 3대 목표로 제시했다. 이 보고회는 오는 13일 전남에서도 열린다.

 국토연구원이 수행한 이번 연구용역 보고서에 따르면 남해안권의 주력 제조업을 고도화하고, 관광·휴양산업과 물류, 신재생에너지, 농수산업 등 지역산업을 특화시켜 남해안권을 세계 일류수준의 초광역적 복합 경제중심지로 육성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제조 분야에서 경남 마산의 로봇산업, 사천·진주의 항공우주 클러스터, 전남 고흥의 우주산업클러스터, 전남 서부권의 조선산업 클러스터 등 기존 산업을 고도화한 특화산업벨트 구축 계획이 담겨 있다. 여기에 창원 기계와 마산 지능형홈, 거제의 조선과 통영의 관광 등 산업간 기능을 융복합·연계한 신산업벨트를 조성해 산업간 시너지를 유도한다는 전략이다.

 특화산업벨트와 신산업벨트의 조성으로 기존 제조업의 경쟁력이 강화되면 남해안권내 제조업체수 5만개, 제조업 총생산은 현재 200조원 수준에서 350조원 수준까지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또한 보고서는 이를 위해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통합적인 교통·물류망을 확충하고, 마케팅을 위한 국제적 통합 브랜드 개발, 3대 국제 경제거점 육성, 해외자본 유치를 위한 투자기반 조성 등을 선행 요건으로 제시했다.

 경남 등 3개 지자체와 국토연구원은 이번 종합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되면 남해안권 1인당 GRDP는 현재 2만2065달러에서 4만달러로, 지역총생산은 1926억달러에서 3600억달러로 향상될 것으로 전망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이번 보고회 이후 9월 중에 3개 시도 공동으로 국토해양부에 종합계획 승인요청을 하면 11월에는 종합계획이 확정될 것”이라 말했다.

 한편, 경남도가 주도해 부산, 전남과 공동으로 추진하는 ‘남해안권발전 종합계획’은 남해안권 해안선에 인접한 35개 시군과 인접 내륙지역을 포함하는 범정부 차원의 공동 프로젝트다.

 창원=임동식기자 dsl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