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국장급 개방형·공모형 직위 개편

산업통상자원부가 창의산업정책관과 지역경제정책관을 각각 개방형과 공모형 직위로 전환하는 등 고위공무원 개방·공모형 직위제도를 개편한다.

산업부는 현재 운영 중인 5개 국장급 개방형 직위 가운데 자유무역협정(FTA)정책관을 제외하고 창의산업정책관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개방형 직위는 기존 공무원은 물론 민간인도 공개 모집·경쟁을 거쳐 채용할 수 있도도록 지정된 직위다. 산업부는 직제 개정 입법예고를 거쳐 이달 말 새로운 개방형 직위를 적용할 예정이다

기존 산업부 국장급 개방형 직위는 FTA정책관을 비롯해 △감사관 △통상정책국 심의관 △표준정책국장(국가기술표준원) △무역조사실장(무역위원회)이다.

산업부는 이 가운데 FTA정책관을 개방형 직위에서 빼기로 했다. 현 정부 출범 후 동시다발적 FTA 협상이 확산되는 상황에서 개방형 직위는 비효율적이라는 판단에서다. 다양한 FTA 협상을 연속성을 갖고 처리해야 하지만 개방형 채용 과정에서 불필요한 업무 중단과 공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 창의산업정책관을 개방형으로 전환한다. 창의산업정책관은 신산업과 융합산업 육성 등을 맡는 곳이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에게 문호를 열어두는 것이 낫다는 게 산업부 설명이다. 이에 따라 창의산업정책관 자리는 향후 인사 수요가 발생하면 개방형 채용 과정을 밟는다.

산업부는 12일자로 국장급 공모형 직위도 일부 변경했다. 공모형은 공개 모집·경쟁을 거치지만 민간인이 아닌 공무원만 응모 가능하다. 부처 간 인사 교류 확대 차원에서 도입됐다.

산업부는 △통상국내대책관 △시스템산업정책관 △에너지산업정책관 △제품안전정책국장(국표원) △경제자유구역기획단장(경제자유구역기획단) 등 5개 공모형 직위 중 에너지산업정책관을 제외했다. 공모 절차로 인해 업무 공백이 발생하면 긴급 전력난 대응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산업부는 지역경제정책관을 공모형 직위로 전환, 운영한다.

이호준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