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17년까지 해외 우수인재 유치 규모를 3만7000여명으로 확대한다.
출입국 제도 개선 등으로 해외 인재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사회 문화 인프라도 조성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3일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30회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해외 우수인재 유치·활용 방안`을 발표했다.
해외 우수인재는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창의적 아이디어와 고도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거나, 잠재성이 높은 외국인과 해외 거주 한국인을 망라한다.
미래부는 해외 우수인재 주요 활동 영역과 성장과정을 고려, △대학과 공공연구소에서 연구·교육을 담당할 `연구교육형` △산업체에서 활동할 `기업활동형` △영재학교와 대학에서 유치한 `미래잠재형` 등으로 구분하고,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방침이다.
연구교육형 인재 확보를 위해 해외 석학의 국내 유치는 물론 해외로 유출된 국내 우수 이공계 연구인력의 국내 복귀를 유도한다.
이와 함께 해외 우수인재를 대상으로 연구비와 체류비를 지원하는 `코리아리서치펠로우십(KRF Korea Research Fellowship)` 프로그램을 신설, 오는 2017년까지 200명을 선발한다. 기업활동형 인재 확보를 위해 코트라(KOTRA)와 재외 과학기술자협회를 통해 국내 중견중소기업에 해외 인재를 유치하는 중계사업도 강화된다.
정부는 외국인과 재외동포의 자유로운 활동을 위해 전자사증 발급을 확대하고, 준영주자격(F-2) 최장 체류기간을 현재 3년에서 5년으로 확대하는 출입국 관리제도를 개선한다.
최문기 미래부 장관은 “대학과 연구기관의 역량을 높이기 위해 우수한 외국 기관, 전문인력과의 협력 확대가 필요한 시기”라며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실효성 있는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해외 우수인재 유치 목표(자료: 미래창조과학부)
김원배기자 adolf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