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빅데이터 정책을 포괄적으로 재검토한다. 국가안보국(NSA) 정보수집 파문으로 정보보호 인식이 강화되면서 빅데이터가 사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정책에 반영하려는 의도다.

28일 인포메이션위크는 오바마 대통령 정책자문인 존 포데스타와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가 `빅데이터와 사생활` 연구를 진행할 실무팀을 구성했다고 보도했다. 빅데이터와 사생활 보호의 연관성을 기술적 차원에서 심도 있게 연구하는 게 핵심 과제다.
포데스타는 백악관 블로그에서 “향후 세 달간 개인정보보호 전문가, 기술자, 기업과 협력해 연구를 진행한다”며 “사생활과 보안을 지키면서 데이터의 자유로운 활용을 촉진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게 주요 업무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실무팀은 학회를 비롯한 여러 기관, 단체와 빅데이터와 정보호호를 주제로 다양한 논의를 진행한다. 기업과는 주목해야 할 빅데이터, 보안 관련 기술을 연구한다.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빅데이터 수집과 활용을 아우르는 정책에 반영할 종합보고서 작성에 쓰인다. 실무팀에는 페니 프리츠커 미국 상무부 장관, 어니스트 모니즈 미국 에너지부 장관, 존 홀드렌 대통령 과학자문위원, 진 스펄링 대통령 경제자문을 비롯한 정부 고위 관리가 다수 포함된다.
미국은 지난 2012년 3월부터 2억달러(약 2200억원)를 투자해 `빅데이터 이니셔티브` 사업을 추진 중이다. 18개 연방정부 기관이 참여해 연구개발(R&D) 인력을 양성하고 정책 전반에 빅데이터 활용을 늘리는 게 뼈대다. 빅데이터 정책 재검토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 활용과 관련한 정부의 사업 전략에 변화가 예상된다. 포데스타는 “실무팀 연구가 강력하고 미래 지향적인 행동 계획을 만드는 데 근간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빅데이터 정책 재검토는 지난 17일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정보 프로그램의 폭넓은 재검토 결과를 발표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 정보기관의 정보수집과 보관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내용의 개혁안을 발표했다.
그는 NSA의 휴대전화 기록 보관 권한을 박탁하고 정보 수집을 위해선 반드시 법원 허가를 받도록 했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제3의 민간 기구에 맡겨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우방과 동맹국 정상의 대화내용을 감청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안호천기자 hc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