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유발 유전자 세계 최초 규명, 맞춤형 치료 새 가능성

간암의 발생과 관련된 특정 유전자 돌연변이 및 유전자 수 증폭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밝혀졌다.

한양대 의대 공구 교수팀과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병리과 유은실·소화기내과 이한주 교수 공동연구팀은 서울아산병원에서 근치적 간절제술을 받은 간암 환자 231명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RB1 유전자 돌연변이가 수술 후 간암 조기 재발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11일 밝혔다.

한양대 의과대학 공구 교수
한양대 의과대학 공구 교수

우리나라 암 사망률 2위인 간암은 수술로 제거해도 5년 내 재발률이 무려 70%에 이르지만 지금까지 간암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나 유전자마커는 밝혀진 바 없다. 바이어마커란 생명체 내부에서 외부적 영향으로 인해 유발된 변화를 알아낼 수 있는 지표를 말한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감염 간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군의 간암 조직에서 FGF19 유전자가 비정상적으로 증폭됐음을 발견했고, 이 유전자 증폭이 바이러스 간염·간경변과 간암과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단서도 확인했다.

공구 한양대 교수는 “231명 간암 환자의 간암 조직 및 비종양 간 조직의 유전체를 동시에 분석한 이번 결과는 지금까지 발표된 간암 유전체 연구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세계적 연구”라며 “이렇게 구축된 간암의 유전체 돌연변이 지도는 간암의 항암치료제 개발 및 맞춤형 치료에 소중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주관 차세대 맞춤의료 유전체사업 지원으로 진행됐으며, 간질환 분야 국제저명학술지인 ‘헤파톨로지’ 5월 9일자에 게재됐다.

김명희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