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신뢰지수, `여전히 낙제점`

한국 경제에 대한 금융 소비자의 부정적 시각이 한층 깊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부채가 증가하면서 금융정책에 대한 신뢰도 더 추락했다. 지난해 9월 최하위를 차지했던 금융당국에 대한 신뢰도는 제자리걸음이다.

금융연구원이 11일 은행회관에서 발표한 ‘금융신뢰지수 조사결과 및 시사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금융 신뢰지수는 작년 하반기(89.5)보다 3.3점 떨어져 86.2점을 기록했다.

<표 : 금융신뢰 요소별 점수 비교> <자료 : 한국금융연구원>
<표 : 금융신뢰 요소별 점수 비교> <자료 : 한국금융연구원>

지수가 100 이상이면 긍정적인 답변이, 100 이하면 부정적인 답변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금융신뢰지수는 한국갤럽에 의뢰해 지난달 9일부터 13일까지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을 전화로 설문조사해 이를 지수화한 것이다. 지수가 100 이상이면 긍정적 답변이, 100 이하면 부정적 답변이 더 많다는 의미다.

금융신뢰지수는 △금융제도의 공정성 및 합리성 △금융회사의 경영상태 △금융회사의 고객서비스 △금융종사자에 대한 신뢰 △금융감독기관의 감독 효율성 △금융감독기관의 소비자 보호노력 △정부의 금융 정책 적정성 △6개월 전 대비 우리나라 경제상황 △6개월 전 대비 개인 경제사정 △우리나라 금융에 대한 전반적 신뢰도 등의 지표를 기반으로 측정한다.

올해 상반기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한 것은 ‘우리나라 경제상황(55.4점)’이었다. 1차 금융신뢰 지수보다 13.5점이나 떨어졌다. 지난해 1차 지수와 비교했을 때 ‘정부금융정책적정성’ ‘개인경제사정’에 대한 지표가 하락폭이 가장 컸다.

윤창현 한국금융원장은 “지난 하반기보다도 일반 국민이 느끼는 경제 상황이 더욱 악화돼 지표에 영향을 미친것 같다”고 말했다.

서병호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2차 금융신뢰지수가 1차보다 다소 떨어진 수치를 보이긴 했지만 통계학적으로 봤을 때 유의미한 격차는 아니라고 설명했다.

서 위원은 “전반적으로 수치가 낮아지기는 했지만 신뢰수준의 오차범위를 고려하면 지난해와 올해 큰 차이를 드러내지는 않는다”며 “전반적으로 경기가 침체돼 있다 보니 이것이 금융신뢰지수를 낮추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해소 방안으로 소통을 제시했다.

서 위원은 “금융권만 사고가 안 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며 “당국 등이 정책 수립과 관련해 국민과 소통하면서 경기상황을 호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금융신뢰지수, `여전히 낙제점`


박소라기자 sr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