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안전’ 이제 산업으로 키운다

[이슈분석]‘안전’ 이제 산업으로 키운다

정부는 ‘안전한 사회’ 구현과 ‘안전 산업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다는 목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 안전대진단을 산업으로 연결하고 첨단기술과 접목해 안전을 새 창조산업 영역으로 키우는 ‘안전산업 활성화’ 실행대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 안전시장은 2011년 2530억달러로, 2021년까지 연평균 7% 급성장이 예상된다. 미국, 독일 등 선진국은 이미 안전산업 육성을 국가 주요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는 안전산업 규모가 영세하고 시장선도·기술혁신형 기업이 부족한데다 불합리한 규제가 많아 발전이 더디다.

올해 정부와 주요 공공기관은 총 12조4000억원을 투자해 안전산업 성장을 견인한다. 정부는 교통·항만·학교 등에 3조1000억원, 공공기관은 에너지·항만 등에 9조3000억원을 투입한다. 26개 주요 대기업 그룹도 지난해보다 약 7000억원 늘어난 3조원을 안전 부문에 투자할 방침이다.

안전 분야 5대 핵심기술도 개발한다. 소방복에 부착해 재난 상황과 생체정보 등을 송수신 하는 ‘소방 웨어러블 기기’를 2017년까지 개발한다. 같은 기간 재난 발생 시 맞춤형 대비·탈출을 유도하는 ‘개인 위치 인식 시스템’도 선보인다. 2018년까지 ‘자동차 안전주행 시스템’을 비롯해 재난정보 빅데이터화해 전조를 감지하는 ‘스마트 빅보드’, 건물 붕괴 등 사고 시 구조를 담당하는 ‘국민안전 로봇’을 개발한다.

정부는 공공 안전정보를 개방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한다. 국가 안전대진단 결과를 포함해 정부기관이 보유한 재난안전 공공데이터 154종 중 117종을 2017년까지 공개한다. 또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공공데이터 활용 지원센터’가 컨설팅·홍보 등을 지원한다.

첨단 안전산업은 중동, 동남아 등 신흥시장 중심으로 진출을 추진한다. 대상국 재난·재해 유형에 부합하는 맞춤형 진출전략을 수립한다. 국가기술표준원은 해외 안전 규제정보를 제공하고 중소기업청·국민안전처는 해외인증 획득을 지원한다.

정부는 또 각종 안전기준간 불일치와 중복규제를 해소한다. 안전기준심의회가 ‘국가 안전기준’을 통합·관리할 방침이다. 안전제품 기술기준은 ISO 등 국제규격 승인가능 수준으로 상향해 글로벌 수준 제품 개발을 유도한다. 표준산업분류에 안전산업 특수분류를 신설하고,과학기술표준분류에도 안전기술을 별도 코드화해 관리한다. 연내 안전산업 분야 마이스터고를 지정하는 등 안전산업 특화 인력 양성에도 역량을 모은다.

박청원 산업부 산업정책실장은 “이번 대책은 안전대진단을 안전산업 도약 계기로 적극 활용하고, 민간 중심 자생적 안전산업 성장여건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했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