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쓰는법 한자대신 한글로 간편하게 ‘현고학생부군신위’가 도대체 뭐길래?

현고학생부군신위
 출처:/ 연합뉴스TV
현고학생부군신위 출처:/ 연합뉴스TV

현고학생부군신위

추석 아침을 맞아 현고학생부군신위이 화제가 되고 있다.

지방은 죽은 사람의 이름과 날짜를 적은 위패인 신주(神主)를 모시고 있지 않은 집안에서 차례나 제사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임시로 만드는 위패다.

차례상에 올리는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 정도가 가장 적당하며 한지(백지)를 이용한다.

제사를 지낼 때 부모 한쪽이 생존해 있는 경우는 단독으로 지내니 지방에도 한 분만 쓰고 두 분이 다 돌아가시면 같이 제사를 지내므로 지방에 부모를 같이 쓴다. 이때 고위(아버지)를 왼쪽, 비위(어머니)를 오른쪽에 쓴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쓰고,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제주)의 관계,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고, 마지막에 `신위(神位)`라고 적는다.

참고할 사항은 지방에 고인 외에 제사를 받드는 봉사자를 기록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이 때는 큰 아들인 경우 ‘孝子’, 작은 아들인 경우 ‘子’, 큰손자이면 ‘孝孫’, 증손자이면 ‘孝曾孫’, 남편이면 ‘夫’라 적는다.

봉사자는 오른쪽으로부터 마지막 줄에 기록하며 예를 들어 ‘孝子○○봉사’라고 쓴다. ○○는 이름이다.

최근에는 한글로 지방을 쓰는 집안도 늘어나고 있다. 이때는 ‘어머님 신위’, ‘아버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쓸 수도 있고, 한자의 우리말 표기만 써서 ‘현고학생부군신위’와 같이 쓰기도 한다.

한편 현고학생부군신위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현고학생부군신위 좋은 정보다”, “현고학생부군신위 유익하다”, “현고학생부군신위 간단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