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34주년 특집3-流](5)핵가족화와 고령화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핵가족화와 고령화는 더 이상 새로운 얘기가 아닐 정도로 현실화된 이슈다. 1980년대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함께 국내 인구·가구 구조가 빠르게 변화한 탓이다.

5년마다 실시되는 인구주택총조사 2015년 집계 결과에서도 우리나라는 핵가족화 현상이 뚜렷했다. 1980년 50%에 육박했던 5인 이상 가구 비중은 2015년 6%대로 떨어졌다. 국내 평균 가구원 수는 2.53명으로 2010년 2.68명에 비해서 0.15명 줄었다.

1990년부터 2005년까지 4인 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었지만 2010년 2인 가구를 지나 지난해에는 1인 가구(27.2%)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핵가족화를 넘어 1인 경제, 이른바 `솔로 이코노미` 시대가 열린다.

시도별 1인 가구 비율 <자료:통계청>
시도별 1인 가구 비율 <자료:통계청>

노령화 역시 빠르게 진행됐다. 소년인구(0~14세)에 대한 노인인구(65세 이상) 비율을 의미하는 고령화지수는 1~2년 안에 100을 넘어설 전망이다. 우리나라 고령화지수는 1970년대 중반까지 10%를 밑돌다 1980~1990년대를 지나면서 20%대로 진입했다. 2000년대 들어서는 더 가파르게 높아졌다. 2000년 34.3에서 2010년 68.4로 치솟은 후 올해는 99.5%로 100%에 근접했다. 조만간 소년보다 노인 인구가 많은 역전 현상이 전개된다.

핵가족화와 고령화는 경제에도 부담이다. 생산가능연령층에 대한 노인인구 비율에 근거한 노년부양인구비는 1960년 5% 수준이었지만 올 들어 18.5%로 3배 이상 상승했다. “부양인구비가 높을수록 경제적 투자능력이 떨어져 경제발전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게 통계청 분석이다.

심각한 것은 핵가족화와 고령화를 되돌릴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것이다. 정부가 자녀 출산을 장려하는 각종 시책을 내놨지만 별다른 효과가 없다. 고령화는 의료기술 발전 등에 따라 자연스럽게 이어질 현상이다. 지난해 11월 기준 국내 100세 이상 고령자는 3159명으로 5년 전 1835명에 비해 72.2% 증가했다.

결국은 안전, 완충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령층이 은퇴 후 정상적 노후생활을 영위하도록 복지제도를 강화해야 한다.

시도별 1인 가구 비율 <자료:통계청>
시도별 1인 가구 비율 <자료:통계청>

핵가족, 1인 가구 확대를 새로운 수요 창출 기회로 삼는 노력도 필요하다. 1인 가구는 다인가구보다 소비여력이 높다. 여러 사람이 공유할 상품을 각각 구매한다. 박현진 동부증권 선임연구원은 “1인 가구가 소비업계 블루칩으로 떠오를 것”이라며 “산업 차원에서는 20~30대 1인 가구 영향력이 커지는 것에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국내 고령화지수 추이 (자료: 통계청)>


국내 고령화지수 추이  (자료: 통계청)


이호준 SW/콘텐츠 전문기자 newlevel@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