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서버 가상화가 클라우드? `무늬만 클라우드` 지양해야

`무늬만 클라우드?`

국내 주요 부처와 공공기관이 지난 몇 년 동안 내부에 클라우드 시스템을 구축했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는 곳은 드물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프라형 소프트웨어(IaaS),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플랫폼형 소프트웨어(PaaS)로 나뉜다. 이 가운데 국내에서는 IaaS 비중이 크다. 2014년 기준 세계 IaaS 평균 점유율이 19.8%인 데 반해 국내는 57.3%로 세 배가량 높다.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국내 주요 부처나 공공기관 역시 지난 몇 년 동안 IaaS에 집중했다. `2014년 클라우드산업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클라우드를 도입한 공공기관(31개 응답) 가운데 IaaS 도입(24개 도입)이 압도했다.

전문가들은 실제 현장에서 클라우드 활용도가 낮다고 내다봤다. 서버, 스토리지 가상화 기술을 도입해 정보기술(IT) 자원을 하나로 통합 관리하는 측면에서는 앞서지만 IT 자원을 탄력있게 활용하는 부분은 놓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발생한 국민안전처 홈페이지 다운 사태가 대표 사례다.

지난달 초 경주 지진 발생 때 이용자가 한꺼번에 몰리자 안전처 홈페이지가 먹통이 됐다. 그 이후 주요 부처 홈페이지와 시스템을 관리하는 정부통합전산센터는 클라우드 기술을 적용, 안전처 홈페이지 용량을 최고 80배까지 향상시켰다고 밝혔다. 그런데 발표 하루 만에 홈페이지는 다시 다운됐다. 업계는 이 원인의 하나로 `오토스케일링` 기능을 꼽았다.

클라우드 강점 가운데 하나가 시스템을 확장하는 `스케일아웃` 기능이다. 특정 회선에 한순간 트래픽이 몰리더라도 유휴 자원을 빠르게 파악, 시스템이 멈추지 않도록 조정한다. 정부통합센터가 구축한 `G-클라우드`는 이 기능을 자동으로 구현하는 `오토스케일링`을 갖추지 않았다. 이 때문에 트래픽이 예상보다 훨씬 몰린 상황에서 대응력이 더딜 수밖에 없었다. 센터 관계자는 “안전처 홈페이지 다운 사태는 여러 원인이 복잡하게 맞물렸지만 오토스케일링 기능 부재도 원인의 하나로 파악된다”면서 “현재 기능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전산센터뿐만 아니라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이 대부분 가상화 단계에 머문다고 내다봤다. 비용 절감 효과만 주목할 뿐 제대로 된 클라우드 효과를 이용하지 못한다고 분석했다.

업계 관계자는 “가상화 시스템을 도입해 놓고는 클라우드 구축을 완료했다고 하는 곳이 많은데 이는 `무늬만 클라우드`”라면서 “공공기관이 앞으로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하거나 내부에 시스템을 구축할 때 클라우드의 다양한 활용성을 고려하도록 공무원 교육이나 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지선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