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 썸네일
    최지웅 KT 클라우드 CEO, “고객 관점 기술 회사로 발전”

    “고객 관점의 기술 회사로 발전하겠습니다.” 최지웅 KT 클라우드 최고경영자(CEO)는 30일 열린 'KT 클라우드 서밋 2025'에서 연사로 나서 경영 방향을 이같이 밝혔다. 최 대표는 KT 클라우드 사업 목표로 △클라우드 플랫폼과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DC)

    2025-04-30 10:22
  • 기사 썸네일
    신청은 오늘, 적용은 6개월 후… 최신 AI 반영 어려운 금융샌드박스

    금융규제 샌드박스 제도가 경직된 심사 구조와 빠른 기술 변화 사이에 간극이 드러나고 있다. 24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생성형 AI, 클라우드, 블록체인처럼 기술 변화 속도가 빠르고 업데이트 주기가 짧은 영역에서는 신청 시점에 기획한 기술 설계가 서비스 출시 시점에는 이미

    2025-04-24 14:12
  • 기사 썸네일
    글로벌 클라우드 보안 특허 경쟁 본격화…한국은 뒷걸음질

    전세계적으로 클라우드 보안 중요성이 점점 더 중요해지는 가운데 한국의 경우 기술력의 바로미터로 꼽히는 특허출원 점유율이 뒷걸음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특허전략개발원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클라우드 보안 기술 특허동향 분석'을 발표했다. 클라우드 전환이 가속화하면

    2025-04-21 17:00
  • 기사 썸네일
    지란지교데이터, 중소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확산 사업 공급기업 선정

    지란지교데이터가 2025년 중소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확산 사업 공급기업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엔드포인트 정보유출방지(DLP) 및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피씨필터 클라우드(PCFILTER CLOUD)'를 공급한다. 이 사업은 국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시

    2025-04-14 10:17
  • 기사 썸네일
    국내 1위 MSP 메가존클라우드, 조직 개편·인력 조정 착수

    국내 1위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 메가존클라우드가 조직 개편과 인력 조정에 착수했다. 염동훈 대표 취임 이후 이뤄진 대대적인 구조 개혁인 셈인데, 기업공개(IPO)에 앞서 재무를 개선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메가존클라우드는 조직을 개

    2025-04-13 17:00
  • 기사 썸네일
    국가AI컴퓨팅센터·월드베스트 LLM 사업, 하반기부터 탄력

    국가AI컴퓨팅센터와 월드베스트 거대언어모델(LLM) 등 정부가 주도하는 굵직한 인공지능(AI) 사업이 올해 하반기 추가 경정 예산안(추경) 편성 이후부터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최근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을 위한 업계 간담회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올해

    2025-04-13 17:00
  • 기사 썸네일
    지란지교시큐리티, 中企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확산 사업 공급기업 선정

    지란지교시큐리티가 '2025 중소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확산 사업'의 공급기업으로 선정돼 수요기업을 모집한다. 중소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보급 확산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한다. 중소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통한 업무 효율성 향상과 디

    2025-04-07 10:44
  • 기사 썸네일
    [보도그후]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서 국산 PaaS 입찰 장벽 없앤다

    정부가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에서 사실상 국내 대기업의 서비스형 플랫폼(PaaS)만을 공급받으려는 취지로 해석된 문구를 삭제한다. 향후 발주될 모든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에서 국산 PaaS라면 전부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벽을 없앤 것이다. 1일 정부와

    2025-04-01 10:05
  • 기사 썸네일
    심평원, 지능형 통합플랫폼 기관 도약 선언…전사 클라우드·AI 접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이 2028년까지 전 시스템 클라우드 전환과 함께 이를 통합 관리할 지능정보 기반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전 업무 영역에 인공지능(AI)을 도입, 업무 혁신을 추구하는 한편 의료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는 등 설립 이래 최대 규모 디지털혁신

    2025-03-24 17:00
  • 기사 썸네일
    국정원 '정보서비스 모델 해설서' 살펴보니…생성AI·SaaS 사용 시 사전 인가 필수

    공공 분야에서 챗GPT와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AI)과 클라우드를 활용하려면, 사전에 승인받은 지정 단말을 사용하고 기관 전산망 내 인증·통제 서버를 이용해 단말·사용자 인증을 거친 뒤 보안요소 통제가 이뤄져야 한다. 17일 정보보호산업계에 따르면, '정보서비스 모델

    2025-03-17 17:00
  • 기사 썸네일
    대기업 PaaS만 공급받겠다는 정부···정책 뒤집었다

    정부가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에서 사실상 국내 대기업의 서비스형 플랫폼(PaaS)만을 공급받기로 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중소·중견 국산 PaaS를 차별 없이 도입해서 생태계를 육성해 온 기존 정책을 뒤집은 것으로, 사업 기회 박탈이 예상되는 국내 상용 PaaS

    2025-03-05 17:00
  • 기사 썸네일
    [보안칼럼]포스트 망분리 시대, 클라우드 보안

    2023년 2월 미국 국방부의 군사 정보기관인 국방정보국(Defense Intelligence Agency)은 약 3테라바이트(TB)의 군 내부 이메일이 유출돼 약 2만600명에게 침해 통지 공지를 보냈다. 정부 고객용 클라우드 이메일 서버의 설정 오류로 암호 없이 데

    2025-02-25 16:00
  • 기사 썸네일
    스트라드비젼 “자율주행·SDV·클라우드…車 새 패러다임 제시”

    자율주행(AD)과 소프트웨어 정의 차량(SDV),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이 미래 자동차 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혁신 기술로 평가됐다. 스트라드비젼은 CES 2025 이후 자동차 산업 트렌드를 공유하기 위한 '스트라드비젼 마켓 인텔리전스 리포트(시장 정보 보고서)

    2025-02-25 15:33
  • 기사 썸네일
    도봉구, '서울시 최초' 클라우드 시대 개막

    도봉구가 구 대표 홈페이지를 비롯해 26개 대민 웹사이트와 웹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 관련 시스템 일체를 민간 'G클라우드(NHN클라우드)'로 이관했다고 17일 밝혔다. 대규모 웹서비스 자원을 이관하는 것은 서울시 자치구로 중 처음이다. 구 관계자

    2025-02-17 14:19
  • 기사 썸네일
    에쓰핀테크놀로지, 공공 클라우드 시장에 MS 애저 공급 본격화

    클라우드 전문 기업 에쓰핀테크놀로지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국내 공공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시동을 걸었다. 에쓰핀테크놀로지는 MS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 전문 인력을 보강했다. 올해 다수 공공 클라우드 전환 사업 등에 입찰, 수주해서 '애저'를

    2025-02-09 17: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