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전자처방전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기반 마련

3월 전자처방전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기반 마련

오는 3월부터 서울 일부 지역에서 전자처방전이 사용된다. 내년이면 전국 어디서나 종이처방전 대신 전자처방전을 쓸 수 있을 전망이다.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전자처방전 시범 사업이 3월 시작된다. 현재 기존 종이처방전 대신 전자처방전 시스템 구축이 마무리 단계다. 2월까지 연동 테스트를 마무리한다.

시범사업이 시작되면 서울대병원과 서울삼성병원 인근 약국 30여 곳에서 전자처방전 이용이 가능하다. 서울대병원과 서울삼성병원이 발급한 전자처방전을 환자 스마트폰을 통해 약국에 제출하는 방식이다. 전자처방전은 바코드나 QR코드 형태다. 약국에서는 약사 스마트폰이나 리더로 바코드를 읽어 조제·투약한다. 처방전 원본은 PC에 저장한다.

환자는 '종이처방전 1부 발급 및 제출'이나 '전자처방전 1부 발급 및 제시'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 유권 해석에 따라 굳이 종이 처방전을 발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의료법 시행규칙 제12조 2항에 따라 의사나 치과의사는 환자에게 처방전 2부를 발급해야 했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안에 중형 병원까지 전자처방전 발급을 확대할 계획이다. 내년까지 점진적으로 의원급 병원과 95% 약국에서 전자처방전 발급·유통·보관이 가능케 한다는 방침이다. 기존 약국에서 사용 중인 시스템을 개선하면 돼 전국 확대는 어렵지 않다고 인터넷진흥원 측은 내다봤다.

진흥원 관계자는 “전자처방전은 2015년 기준 5억건이 넘는 종이처방전 발급 비용을 아끼는 동시에 처방전 보관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면서 “처방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앱을 통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전자처방전 사업은 3년에 걸쳐 총 3단계로 이뤄진다.

1단계는 종이 처방전을 전자문서 형태로 전환한다. 시범 사업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대한약사회가 맡는다.

2단계는 전국 확산이 목표다.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는 내년까지 병원 처방전 발급 절차를 없애기로 합의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는 종이 처방전 발급을 줄이고 빅데이터를 축적하는 게 목표다. 복지부는 진료·처방·조제 기록을 국민 건강 증진에 활용하려는 구상이다.

3단계에서는 처방전 자체를 없앤다. 처방 데이터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약국에 바로 전달된다. 약국에서 간단한 본인 인증만 거치면 그 자리에서 처방전을 볼 수 있다. 종이 처방전은 물론 스마트폰도 필요 없다. DUR가 중개 서버 역할을 하는 셈이다. 별도 중개 사업자를 거치지 않아도 돼 개인정보 유출 우려가 없다.

물론 심평원 참여가 필수다. 심평원이 운용하는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를 처방전 발급에 이용할 수 있도록 연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DUR는 의약품 처방·조제 때 병용 금기 등 의약품 안전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심평원 참여는 미정이다. 복지부와 의견 조율이 남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심평원 내에 모든 의료 정보가 모이기에 사실 처방전을 따로 발급하지 않아도 된다”면서 “처방전 발급에 따른 과도한 비용과 불편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표>전자처방전 시범사업 범위(출처:한국인터넷진흥원)

3월 전자처방전 시범사업 실시… 전국 확대 기반 마련


유창선 성장기업부 기자 yuda@etnews.com